등록 : 2017.07.25 20:20
수정 : 2017.07.25 20:57
|
공공부문 인사담당자 등 230여명이 25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서울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고용노동부 주최로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 안착을 위한 전국 순회 설명회’에 참석하고 있다.
|
정부 ‘공공부문 설명회’ 질문 봇불
근속수당 등 임금체계도 논란
|
공공부문 인사담당자 등 230여명이 25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서울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고용노동부 주최로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 안착을 위한 전국 순회 설명회’에 참석하고 있다.
|
25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서울상공회의소에서는 고용노동부 주최로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 안착을 위한 전국 순회 설명회’가 열렸다. 지방자치단체 등 80여곳을 초대했지만, 예상보다 많은 230여명이 참석해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고용노동부의 가이드라인 설명이 끝난 뒤 참석자들은 가이드라인의 ‘전환 정규직’과 기존 무기계약직과의 차이점이 무엇인지에 관한 질문을 쏟아냈다. 한 지방공기업 인사담당자는 “(이번에 전환되는) 정규직과 기존 무기계약직에 대한 명확한 개념 구분이 없어 혼선이 많다”고 지적했고, 한 공공기관 인사담당자는 “기관별 정규직 정원이 없어 기간제로 채용한 뒤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했는데 업무는 정규직과 별다를 바 없다. (가이드라인이) 무기계약직에게 오히려 차별적 요소가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기존 무기계약직을 ‘진짜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냐”는 질문이 나오기도 했다. 고용부 관계자는 “정부의 가이드라인의 핵심은 고용안정을 우선으로 한 정규직 전환을 하고 기존 무기계약직과 함께 단계적으로 처우개선을 하겠다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정규직으로 전환된 뒤 적용할 ‘임금체계’도 논란이 됐다. 이날 설명회 자료를 보면, “임금체계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의 취지에 부합하는 형태로 설계(하라)”라며, 1년차와 15년차의 월 임금 차이가 2만8천원에 그치는 서울시 직접고용 청소노동자의 임금체계를 사례로 들었다. 이번 정규직 전환도 기존 무기계약직과 마찬가지로 ‘무늬만 정규직’라는 비판이 나올 수 있는 대목이다. “무기계약직 처우개선이 화두가 되고 있는데, 새로 전환될 정규직의 임금체계를 공무원과 유사한 방식(호봉제)으로 해야할지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있느냐”는 중앙행정기관 인사담당자의 질문에, 고용부 관계자는 “무기계약직의 임금체계를 호봉제로 바꾸는 것은 정부가 감당할 수 있는 부분을 넘어선다”고 답변했다.
이날 고용부 관계자는 인사담당자들에게 정규직 전환에 따른 예산소요를 중앙행정기관·공공기관의 경우 내달 4일까지 기획재정부로 제출하라고 통보했다. 무기계약직에 대해서는 복지포인트 연 40만원, 명절상여금 연 80만~100만원, 식대 월 13만원을 우선 반영하라고 했다.
글·사진 박태우 기자
ehot@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