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상대로 한 정부 손해배상청구소송
강정 외에도 쌍용차·한진중 희망버스 등 7건
정부가 해군기지 건설 반대 집회 등에 참여한 제주 강정마을 주민과 시민단체 등을 상대로 제기한 34억5000만원의 구상권 소송을 철회하기로 했다. 그동안 정부가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악용’해 정부 정책 등에 반대하는 국민의 ‘집회의 자유’를 억압한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았다.
강정마을 주민 등을 대리한 오민애 변호사(법무법인 향법)는 정부의 결정에 대해 “지난 정부의 구상금 청구 소송은 해군기지 건설 반대를 위해 싸운 사람들에게 압박을 주기 위한 보복성 소송이었다”며 “새 정부가 (법원의) 조정안을 받아들여 다행”이라고 말했다. (▶관련 기사: 강정주민 옥죈 ‘보복 소송’…1년6개월 만에 멍에 풀렸다)
이번 소송 철회로 해군기지 건설을 둘러싸고 10여년 동안 이어져온 정부와 주민 사이의 갈등은 해결의 실마리를 마련했다. 하지만 집회·시위에 대한 정부의 손해배상청구 소송은 아직 6건이 진행 중이고 1건은 집회 주최쪽에서 금액을 변제했다. 강정마을 건은 주민들의 반대 집회로 공사가 지연됐으니, 해군이 시공사인 삼성물산에 물어준 251억원의 일부를 돌려받겠다는 취지의 구상권 청구 소송이지만, 나머지 7건은 대체로 경찰 장비 파손이나 인력 부상, 정신적 피해 등을 거론하며 제기한 직접 손해배상청구 소송이다.
박래군 ‘손배 가압류를 잡자! 손에 손을 잡고!(손잡고)’ 운영위원은 지난달 28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국가/기업의 괴롭히기 소송 남발, 어떻게 할 것인가’ 토론회 발표문에서 각 사례를 정리한 바 있다. 여기서 박래군 운영위원은 “기업만 노동조합 파괴 수법으로 손해배상청구 및 가압류를 악용하는 게 아니”라고 꼬집으며 “기업과 국가의 손배·가압류 소송은 구체적으로 손해배상을 받아내기 위한 목적보다는 기본권 행사를 제약하려는 목적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중대한 인권침해로밖에 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 발표문을 바탕으로 7건의 소송이 어떤 내용인지 하나씩 소개한다.
(▶토론회 발표문 바로가기)
(▶관련 기사: 법을 이용한 국가폭력 손배소, 계속하시렵니까)
|
쌍용자동차에 농성중인 노조원들에 대한 본격적인 진압에 나선 경찰들이 2009년 8월5일 오전 경기 평택시 칠괴동 쌍용자동차 조립공장 옥상에서 농성중이던 노조원들을 체포하고 있다. 평택/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
|
한진중공업 정리해고 철회를 위한 제5차 희망버스 행사가 2011년 10월8일 오후 부산에서 열린 가운데 중구 남포동 광복로에서 경찰이 물대포를 쏘며 희망버스 참가자들을 연행하고 있다. 부산/류우종 기자 wjryu@hani.co.kr
|
|
노동절 노동자대회에 참석했던 노동자와 416 세월호 국민연대가 주최한 1박2일 행동에 참가했던 시민단체 회원, 시민들이 2015년 5월1일 밤 청와대를 향해 행진하려하자 서울 안국네거리에서 경찰이 차벽으로 가로막은 채 살수차를 동원해 물을 뿌리고 있다. 경찰은 버스 위에서 사진을 찍던 기자들에게도 무차별적으로 물을 뿌리기도 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
|
2015년 4월18일 오후 서울 종로구의 광화문 광장에서 세월호 유가족, 민주노총, 시민 등으로 이뤄진 시위대가 경찰과 대치하고 있다. 이들은 이날 경찰과 대치하는 가운데 세월호 시행령 폐지와 조속한 세월호 선체 인양을 요구했다. 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김경호 기자
|
|
2008년 6월10일 경찰이 바리케이트로 쳐 놓은 컨테이너 박스 ‘명박산성'. 박승화 기자
|
|
전남 보성에서 상경한 농민 백남기씨가 2015년 11월14일 저녁 서울 종로구 광화문 일대에서 열린 ‘민중총궐기대회’에서 경찰이 쏜 물대포에 맞아 쓰러져 있다. 쓰러진 백씨 위로 계속해서 강한 물살이 쏟아지고 있다. <오마이뉴스> 제공
|
|
2011년 5월24일 오후 충남 아산시 둔포면 유성기업 정문 앞에서 주간2교대 실행과 직장폐쇄 철회를 요구하며 점거 농성을 벌이던 유성기업 노조원들이 경찰에 연행되고 있다. 아산/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