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사업장 빠져 파업효과 크지않을 듯
민주노총 산하 전국 140여개 사업장, 노조원 약 6만여명이 1일 총파업에 돌입했다. 민노총은 총파업과 함께 이날 오후 부산, 광주, 창원 등 전국 주요 도시에서 각 지역본부별로 '비정규직 권리보장 입법쟁취 결의대회'를 열고 정부의 비정규직 기간제 법안 폐기 등을 촉구했다. 민노총은 이날 "정부와 국회가 비정규직 노동자의 기본권도 보장하지 못하는 부실법안을 강행 처리하려 한다"며 정부와 국회를 강력히 비난했다. 부산역 광장에서는 이날 오후 2시 노조원 1천여명이 모여 '비정규직 권리보장입법 쟁취 결의대회'를 가졌으며 창원 중앙체육공원에서도 2천여명이 집회를 가졌다. 광주지방노동청 앞에서는 노조원 1천여명이 결의대회를 갖고 가두행진을 벌였으며 목포.서남권과 여수.동부권도 각각 자체적으로 집회를 열였다. 이밖에도 대구, 대전, 전주, 포항, 울산 등 전국 20여개 도시에서 노조원 2만여명이 모인 가운데 비정규직 노조의 권리보장을 촉구하는 파업결의대회가 잇따라 열렸다. 민노총의 이번 총파업에는 경기지역의 경우 평택 쌍용자동차 등 15개 사업장 1만5천여명이 동참해 정상조업이 이뤄지지 못했다. 금호타이어 등 광주.전남지역 12개 사업장 노조원 8천500명도 오전 10시를 기해 작업장에서 철수했으며 부산지역 사업장 15곳도 사업장별로 파업 출정식을 갖고 1-4시간의 파업에 돌입했다.울산 세종공업 등 이 지역 12개 사업장 2천여명과 VDO한라, 캄코 등 충북지역 4개 사업장 1천300여명도 파업에 동참했으며 대우상용차 등 전북지역 8개 사업장, 조합원 1천200명도 오후 4시까지 6시간 동안 파업을 벌였다. 이날 파업에는 현대.기아차 등 민노총 핵심사업장 등이 빠진 채 140여개 사업장 조합원 6만여명(전체 조합원의 10%.민노총 추산)만이 총파업에 참여했고 일부 사업 장은 노조간부만이 파업을 벌여 실제 파업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민주노총은 3일 지역별 문화제와 4일 농민단체 연대 집회를 열며 5일 이후는 비정규직 법안 처리과정을 보고 총파업 지속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여운창 기자 betty@yna.co.kr (수원.부산.광주.창원=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