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12.08 16:15 수정 : 2005.12.08 16:15

사 "복직문제 풀면 파업 풀겠다고 요구" 노 "여론몰이 의심, 수정안 있으면 협상"

임금협상 결렬에서 촉발된 대한항공(KAL) 조종사노조의 파업이 "사실은 해고자 복직 때문"이라고 사측이 주장하고 나와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사측 교섭대표인 대한항공 강경부 노사협력실장과 김태원 노사협력팀장은 8일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조종사노조 파업의 목적은 임금인상이 아니라 해고자 3명의 복직에 있다"며 파업의 불법성을 강조했다.

노조측이 공식 협상테이블에서는 `해고자 복직' 문제를 언급하지 않았지만 비공식 접촉에서 "해고자 복직 문제를 해결해주면 파업을 풀겠다"고 줄기차게 요구했다는 것이다.

대한항공은 2001년 6월 외국인 조종사 채용제한 등을 요구하며 불법파업을 벌인 집행부 8명을 해고했다가 이 중 5명은 순차적으로 복직했으나 당시 노조위원장인 이모씨 등 3명에 대해서는 복직시키지 않았다.

파업 주동자로 알려진 이들 3명은 고등법원에서 업무방해 혐의 등으로 유죄판결을 받았으며 현재 대법원에 상고 중이다.

회사측은 이와 함께 전날 임금협상이 아닌 해고자 복직을 요구했다는 이유로 신만수 노조위원장 등 노조 집행부 27명에 대해 업무방해 혐의로 경찰에 고소했다.


회사측은 또 파업의 쟁점인 노조측의 임금인상안과 비행수당을 보장하는 임금계약서 개선 요구에 대해서도 "더 이상 내줄 게 없다"면서 "노조는 파업을 풀고 농성장에서 나오라"며 `백기투항'을 강조했다.

회사측의 이 같은 강경 대응은 `더 이상 노조의 무리한 요구에 밀릴 수 없다'는 위기의식에 따른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더욱이 `귀족노조'의 극단적 행동에 비난 여론이 들끓는 데다 정부의 `긴급조정권 발동' 방침을 밝힌 것도 회사측이 강경 방침으로 선회하게 된 배경이 된 것으로 분석된다.

노조측은 "해고자 복직 문제를 꺼내는 것 자체가 불법인데 이를 꺼낼 수 있겠는가"라고 반문하면서 회사측이 해고자 복직 문제를 빌미로 `여론몰이'를 하고 있다고 의심하고 있다.

노조측은 "협상 테이블이나 비공식적 접촉 등에서 해고자 복직 문제는 전혀 꺼낸 바 없다"면서 "오히려 회사측이 지난 8월 단체협상 때 얼핏 꺼낸 바 있다"고 말했다.

노조측은 이어 사측의 경찰 고발에 대해 "파업이 해결된 뒤 자진 출석하겠다는 내용의 공문을 서울 강서경찰서에 보냈다"면서 결백함을 재차 강조했다.

노조측은 또 "회사측에 2차례씩이나 임금인상 수정안을 갖고 나오라고 요구했으나 지금껏 응답조차 없다"면서 "회사가 최종 수정안을 갖고 올 경우 언제든지 응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노조 집행부는 그러나 파업에 돌입한 이후 비난 여론에 정부의 긴급조정권 발동 방침, 회사측의 강경 대응 등 잇단 `악재'에 적잖게 당황하는 모습이다.

더욱이 해고자 복직 문제는 그동안 노조의 입장에서도 `뜨거운 감자'였다고 항공사 안팎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노조는 그 동안 노조 기금에서 이들 해고자 3명에게 봉급을 대신해 매달 평균 1천200만원씩 지급해오는 과정에서 일부 노조원이 불만을 제기했다는 후문이다.

지난달 노조위원장 선거에서 55%라는 저조한 성적으로 연임한 뒤 노조의 `체질개선'을 위해 강성 집행부를 구성해 파업에 돌입한 신만수 위원장은 더 이상 물러설 곳이 없는 어려운 처지에 놓여있다.

노조측이 오히려 사측에 `대화 재개'를 요구하고 있지만 사측이 `선 파업해제 후 대화'라는 강경 입장을 밝힌 만큼 협상의 여지마저도 없어져 `진퇴유곡'에 빠진 셈이 돼 버렸다.

이에 따라 이번 파업이 노사자율로 해결되리라는 기대감이 멀어져가는 와중에 해결의 실마리가 여론과 정부의 긴급조정권 발동 시점에 모아지고 있다.

조종사 노조는 홈페이지를 통해 "노조를 해치는(해노) 행위는 조합원들에 대한 배신행위임을 주지하고 즉각 파업대오에 동참하라"며 "해노 행위는 노조규약에 의거해 강력히 대처하겠다"고 지침을 내렸다.

김종우 기자 jongwoo@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