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5.12.08 21:14
수정 : 2005.12.08 21:15
고용사유 10가지로 확대
비정규직 법안에 대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법안심사소위의 심의가 막바지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민주노동당이 8일 기간제 비정규직 노동자 고용에 사용사유 제한을 두되, 그 범위를 10가지로 대폭 확대하는 양보안을 내놓았다.
이에 대해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은 찬성의 뜻을 밝혔다. 그러나 이목희 열린우리당 제5정책조정위원장은 “소위에서 최대한 심의를 하겠지만, 민주노동당의 제안을 수용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권영길 민주노동당 대표는 이날 오전 전재환 민주노총 비상대책위원장과 이용득 한국노총 위원장을 만나, 사용사유 제한의 원칙은 지키되, 그 범위를 기존 근로자의 휴직·파견으로 결원이 발생하는 경우 등 10가지로 대폭 확대하는 양보안을 제안했다.
이에 한국노총은 “민주노동당의 양보안을 환영한다”며 “각 정당들이 한발 양보해 원만한 합의로 이번 정기국회 안에 타결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민주노총도 “민주노동당의 수정안을 받아들인다”며 “양대 노총과 민주노동당이 함께한 수정안에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이 답할 차례”라고 말했다.
한편, 민주노총은 이날 비정규직 권리보장 입법을 요구하며 다시 하루 총파업을 벌였다. 민주노총은 대구지하철노조, 금속노조, 한라중공업노조, 삼호중공업노조, 대한항공조종사노조 등 3만여명이 전면파업을 벌였고, 오후 1시부터는 기아자동차노조(조합원 2만7천여명)와 여성연맹(조합원 1천여명)이 4시간 부분파업을 벌이는 등 모두 6만7천여명이 총파업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또 오후 2시30분부터 서울 여의도 국회 앞 등 전국 거점지역별로 총파업 결의대회를 열어 비정규직 권리보장 입법을 촉구했다. 민주노총은 9일에도 서울 종묘공원에서 농민단체 등과 함께 ‘비정규직 권리보장 입법쟁취 및 전용철 살해규탄 제2차 범국민대회’를 열 예정이다.
양상우 이지은 기자
ysw@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