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12.09 10:12 수정 : 2005.12.09 10:12

원혜영 "국민도 이해하기 어려운 과도한 주장"

정부와 열린우리당은 9일 대한항공 조종사 노조 파업 대책과 관련, 대화와 협상을 통한 노사간 자율타결을 촉구하되 조속한 타결을 위해 긴급조정권 발동도 적극 검토키로 했다.

당정은 이날 국회에서 추병직 건설교통부 장관과 열린우리당 원혜영 정책위의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협의회를 열고 이 같은 방안을 논의했다.

김한길 건교위원장은 회의 후 브리핑에서 "노사협상은 대화와 타협에 의한 상호자율에 의해 해결돼야 한다는 원칙을 확인했다"면서 "그러나 지난 7월 아시아나항공 파업과 비교해 대한항공은 항공 운수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파업지속시 국가경제적 손실이 막대하기 때문에 조기운영 정상화를 위해 긴급조정권 발동 등 특단의 대책도 강구키로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당정은 파업으로 인해 화물처리 지연 및 운임상승, 제주도 관광수요 감소 등으로 하루에 약 697억원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당정은 연말 `항공대란'을 방지하기 위해 파업대책본부를 설치해 비상수송 대책을 수립하고, 비노조원.외국인 및 노조원 중 운항참여자를 최대한 투입해 국내 제주노선 및 중.단거리 국제노선 위주로 운영하기로 했다.

아울러 아시아나 항공과 외국항공사에 대해 전세편이나 임시편 편성 등을 적극 허용키로 했다.


한편 원혜영 정책위의장은 이날 열린 비상집행위원회에서 "12월은 1년중 수출물량이 가장 집중되는 시기이고 수출물량의 대부분이 휴대전화, 반도체 등 첨단IT(정보기술)제품"이라며 "이번 파업이 주문감소, 신인도 하락 등으로 이어져 막 살아나고 있는 경제에 찬물을 끼얹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10년 근무한 기장은 1억2천만원, 부기장은 8천800만원의 연봉을 받으면서 임금 8% 인상을 요구하는 것은 국민도 이해하기 어려운 과도한 주장"이라며 "또 사측도 조종사 노조 파업에 대한 국민 여론이 나쁜 것을 적극 활용해 강경대응으로 일관하는 것도 (노사협상에) 장애가 되고 있다"며 노사 양측을 비판했다.

조재영 기자 fusionjc@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