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12.27 18:22 수정 : 2005.12.27 18:22

“대기업 노조, 한국위기 10대 주범” 평가 놓고

진보진영 안에서도 대기업 노조의 구실과 위상에 대한 평가와 반성을 둘러싸고 큰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민주노동당 부설 진보정치연구소(소장 장상환)는 최근 “재벌 대기업 노조와 이에 기반한 양대 노총”을 직설적으로 비판했다. 연구소는 또 대기업 노조를 ‘한국 위기 10대 주범’과 ‘노동 위기 주범’으로 꼽았다.

이에 민주노총은 곧바로 “심각한 도발”로 규정하고 민주노동당에 경위 조사를 공식 요청했다. 또 노동관련 매체에 대변인 이름의 기고를 내어 진보정치연구소를 맹렬히 비판했다.

연구소 “자기쇄신 필요성 말했을 뿐”
민노총 “근거없는 주장…심각한 도발”

이수봉 민주노총 대변인은 27일 “현 상황을 두고 ‘노조의 노력이 부족하다’고 비판하는 것은 얼마든지 수용할 수 있지만 ‘위기의 주범’으로까지 몰아가는 것은 본말을 완전히 뒤집은 것”이라며 “(진보정치연구소가) 노동계급을 이간하려는 정권과 자본의 대중여론조작에 포섭됐다”고 비판했다. 이 대변인은 26일엔 노동전문 매체인 <매일노동뉴스>에 기고한 글에서 “노조들이 아직 초보적 수준의 요구에 그치고 있는 것은 신자유주의 공격을 막아내기 급급한 상황의 반영이고 노조 비리 구조의 주범은 ‘자본’”이라며 “하지만 진보정치연구소가 이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근거 없는 주장을 펴며 인식의 천박성을 드러냈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진보정치연구소는 14일 국회헌정기념관에서 개최한 ‘위기의 한국사회, 대안을 찾아서’란 주제의 송년 토론회에서 “노조운동, 특히 재벌 대기업 노조운동은 시민사회에서 가장 큰 정치사회적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직화한 세력임에도, 다수 보통 사람들의 사회경제적 권리신장을 위한 실질적 민주주의에 전혀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오히려 각종 부정부패 사건과 정파 갈등으로 점철하면서 노조운동의 중요성과 사회적 기반을 부식시키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김윤철 진보정치연구소 연구실장은 “‘위기 10대 주범’은 연구소 소속 비상임연구위원 60여명과 민주노동당 정책위원회 연구원 40여명의 의견을 모아 정했다”며 “비정규직 문제 등 다수의 노동인구가 생존의 위기에 직면해 있음에도 (대기업노조의) 노동 운동은 제구실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견을 그대로 전했을 뿐”이라고 밝혔다. 또 “‘주범’이라는 표현에 집착하지 말고, 노동운동의 자기쇄신과 발전의 필요성을 거론한 점에 민주노총이 유의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처럼 민주노총과 진보정치연구소가 날카롭게 대립하면서, 민주노동당 비상대책위원회는 두 쪽의 ‘만남’을 주선하며 ‘진화’를 시도했다. 하지만 진보정치연구소 쪽은 “민주노총이 사과와 해명을 요구하는 상황에서 생산적 논의는 불가능하다”며 회동을 사실상 거부했다.


양상우 기자 ysw@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