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2.10 19:02 수정 : 2005.02.10 19:02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고통을 외면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온 대기업 정규직 노동조합들이 비정규직 노동자들과의 연대를 강화하고 나서 주목된다.

대표적 대기업 노조인 현대자동차노동조합은 지난달 제18차 정기대의원대회에서 현대차비정규직노동조합과 아산사내하청지회 등이 참여하는 불법파견 원·하청연대회의를 현대차노조의 공식기구로 만들었다. 이런 조처는 비정규직 노조와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협조 관계를 유지해오던 현대차노조가 비정규직 노조쪽으로 한발짝 가까이 다가가, 비정규직 노조를 더욱 적극적으로 끌어안은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번에 원·하청연대회의가 현대차노조의 공식기구가 됨으로써 현대차노조의 본조와 각 지회는 연대회의에서 일단 결의된 내용은 모두 집행할 책임을 지게 돼, 현대차비정규직노조는 정규직 노조 조직안에서 공식적으로 발언할 통로를 얻게 됐다. 또한 연대회의 산하에 설치되는 불법파견투쟁전략회의를 통해 현대차노조의 본조와 각 지부 등과 투쟁 전략과 전술을 기획하고 사전 조율할 수도 있게 됐다.

현대차노조는 “회사내 비정규직 노동자에 대한 차별 철폐와 불법 파견에 대처하기 위해 지난해 구성한 원·하청연대회의는 비공식 임의기구라는 한계가 있었다”며 “이제 연대회의가 노조의 공식기구가 돼 좀더 가열차게 불법파견 철폐 투쟁을 전개할 수 있는 전환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한편 민주노총과 산하 금속연맹도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불법파견 근절과 정규직화를 요구하며 지난 3일부터 전국 각 지역에서 권역별 집회를 펼치고 있으며, 이번달 임시국회에서 정부가 비정규직 관련법안을 강행처리 할 경우 총파업에 들어가기로 이미 결정한 상태다.

한국노총은 특히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권리 보호를 위해 올해부터 비정규직 노동자 조직화 사업을 적극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한국노총은 이를 위해 사무총국에 비정규직실을 설치하고, 우선 울산, 마산, 창원 등 주요 공단을 중심으로 비정규직 조직사업을 펼치기로 했다. 한국노총은 2단계로는 서울, 부산 등 주요 대도시에서, 3단계로는 의정부, 춘천 등 중소도시에서 비정규직 노동조합을 조직하는 단계별 조직화를 통해 오는 2014년까지 전체 비정규직의 10%를 조직화할 계획이다.

김정수 기자 jsk21@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