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지난해 산재율 최저치…노동계 “통계 허점, 실제론 훨씬 심각”
    우리나라의 산업재해가 계속 감소추세를 보여, 지난해 우리나라의 산업재해율과 사망자비율이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는 정부 분석이 나왔다. 하지만 정부 통계방식에 문제가 있고, 산재보험 미가입자들이 많아 실제 산업재...
    2017-03-09 16:06
  • “일요일엔 쉬자” 노조 만든뒤 해고 몰린 비정규직
    “이 회사 다니면 연애하는거 포기해야 돼요” 인천 송도에 있는 자동차 부품 생산업체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만도헬라)에는 사내도급(하청)업체 2곳 350명이 생산직으로 일한다. 만도헬라 소속 노동자는 없다. 회사 생산직의 평균 ...
    2017-03-07 21:26
  • 유연근무제 운영 중소기업 노동자 연 최대 520만원 지원
    정부가 근무 시간과 장소가 자유로운 ‘유연근무제’를 운영하는 중소기업에 노동자당 연간 최대 520만원을 지원한다. 고용노동부는 시차출퇴근제, 재택·원격근무제 등 유연근무제를 올해 새로 도입하거나 확대 시행하는 중소기업에...
    2017-03-07 10:10
  • 삼성화재 부장은 왜 국가인권위를 찾아갔나
    삼성화재의 보직해임을 통한 구조조정이 ‘나이 차별’이라며, 부장급에서 보직해임된 당사자가 회사를 상대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낸 것으로 밝혀졌다. 또 부장급보다 한 단계 낮은 팀장...
    2017-03-07 05:01
  • 국가가 정한 정년은 60살, 삼성화재 정년은 50살?
    지난해 12월1일, 국내 1위 손해보험사인 삼성화재의 사내 전자게시판에 부장급 인사가 떴다. 해마다 이맘때 발표되는 정기 인사였다. 회사 사람 누구에게나 큰 관심사지만, 관심 내용이 남다...
    2017-03-07 05:01
  • 무법자 같은 ‘노조파괴’ 유성기업 회장
    ‘노조 파괴’로 실형을 선고받은 현대자동차 부품업체 유성기업 유시영 회장이 “다중이라는 폭력에 의한 정무적 판단”이라며 1심 판결을 비판해 2심 결과가 주목된다. 앞서 지난달 17일 대전...
    2017-03-06 19:52
  • 산재노동자 생활안정을 위한 ‘착한 융자’
    근로복지공단은 산재노동자와 유족의 생활안정에 필요한 자금을 무보증·무담보로 장기간 낮은 금리로 빌려준다고 6일 밝혔다. 융자 대상은 3월 현재 월평균 소득이 3인 가구 중위소득(364만 915원) 이하로 △산재 사망노동자의 유...
    2017-03-06 12:54
  • 353일만에 마지막 출근 ‘노조파괴 없는 곳으로'
    지난 4일 오전 7시께 충북 영동군 유성기업 영동공장으로 가는 도로. 금속노조 유성 영동지회 조합원 고 한광호씨 장례식 운구행렬이 청아한 조종 소리와 함께 ‘마지막 출근길’에 나섰다. 21...
    2017-03-05 20:45
  • “더 있다간 나도 어떻게 될지 두려웠다”
    ▶ 황유미씨가 백혈병으로 숨진 지 10년이 지났습니다. 반도체 공장의 직업병 문제가 알려지고 황씨의 죽음도 산업재해로 판정됐지만, 삼성은 여전히 반도체 노동자들의 질병이 직업병이 아니...
    2017-03-04 13:59
  • 음식점 사장, 오토바이 배달원에 안전모 지급 필수
    중국집이나 치킨집 등 음식점 사업주는 오토바이로 배달하는 종업원에게 승차용 안전모를 반드시 지급해야 한다. 제동장치 등이 작동하지 않는 오토바이는 운행할 수 없다. 이를 위반하면 사...
    2017-03-02 14:3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