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3.01 21:42 수정 : 2006.03.01 21:42

‘우편독자’ 전국 10만명 “토요일엔 어쩌라구요…”

우편으로 신문을 받아보는 독자 대부분이 3월부터는 토요일치 신문을 이틀이 지난 월요일에나 받아보게 됐다. 주로 산간벽지 등에 사는 독자들인데, 전국적으로 10만여명 된다. 이들 독자는 지금까지는 ‘빠른 우편’으로 이르면 토요일 오전, 늦어도 오후에는 신문을 받아보았다.

그런데 신문 우편 배달을 맡고 있는 우정사업본부가 3월부터 토요일치 신문의 우편 배달 수수료를 한꺼번에 200% 이상 인상했다. 20~28면(103~143g) 기준으로 170원이었던 수수료를 570원으로 무려 400원이나 올린 것이다.

대부분의 나라에서 신문의 공공성을 감안해 신문 우편 배달 수수료 감액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수수료의 70%, 프랑스는 40%, 이탈리아는 35~45%를 깎아주고 있다. 이번 수수료 인상은 결과적으로 토요일치에 한해 정부 지원을 없앤 것이 됐다.

전성무 우정사업본부 물류기획과장은 “주 5일 근무제 시행에 따라 토요일치 신문을 배달하려면 직원들에게 시간외 수당을 지급해야 돼, 비용이 크게 늘어났다”며 “우편 사업이 만성적인 적자에 시달리는 상황에서 수수료를 올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외환위기 이후 공공 부문에서도 구조개혁 바람이 불면서 2000년 7월 정보통신부 우정국이 이른바 ‘사업부 체제’인 우정사업본부로 바뀌었는데, 이 때부터 공익성 못지 않게 수익성도 따지게 됐다.

그렇다고 추가 비용을 신문사들이 떠안기도 어려운 형편이다. 지금도 신문 판매 가격이 제작 원가에 못 미치는데, 신문 한 부를 배달하려고 570원이나 되는 수수료를 부담할 수는 없는 노릇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전국의 우편 배달 독자들은 이제 추가 수수료를 스스로 부담할 지, 아니면 월요일에 토요일치와 월요일치 두 종류의 신문을 함께 받아볼지 결정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이를 두고 “정보 불평등이 더 심화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우편 배달 독자들은 산간벽지 등에 살아 애초부터 정보 소외 지대에 있는데, 신문마저 늦게 받아본다면 세상과 더 멀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영상매체와 인터넷 등 다른 매체들의 발달로 신문 배달이 늦어져도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반론도 일부에선 나오고 있지만, 이는 신문의 특성을 모르고 하는 얘기라는 지적을 받는다. 다른 매체들과 달리 신문은 수용자가 차분하게 생각하도록 만드는 매체라는 점을 무시한 발상이라는 것이다.

조맹기 서강대 언론대학원 교수는 “신문 우편 배달 비용을 정부가 부담하는 것은 신문이 국민들의 지적 수준을 끌어올리는 기능을 하기 때문”이라며 “눈 앞의 비용 절감을 위해 사회적, 문화적 가치를 희생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안창현 기자 blu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