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3.15 19:14 수정 : 2006.03.15 19:14

연금상태서 ‘시민’ 이름으로 실어

1975년 <동아일보> 광고 사태 당시 벌어진 격려광고 운동에서 첫 참여자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라는 증언이 나왔다.

<미디어오늘>은 당시 이 신문의 광고국장으로 있던 김인호(84)씨가 이런 사실을 밝혔다고 15일 보도했다. 김씨는 “74년 12월30일치 1면에 내 이름으로 격려 광고 모집 공고를 낸 뒤 31일 오전 어떤 사람이 ‘김대중 선생의 심부름’이라며 친필 광고 문안과 광고료를 갖고 와 처음으로 접수했다”며 “심부름을 한 사람은 김옥두 전 의원이었다”고 말했다.

김 전 대통령은 ‘언론의 자유를 지키려는 한 시민’이라는 이름으로 낸 광고에서 “언론 자유는 민주국가의 혼이요 모든 소망의 근원이다”라며 “나는 언론 자유와 민주 회복을 열망하는 한 시민으로서 모처럼 타오르기 시작한 언론 자유의 촛불을 지키기 위하여 이 광고문을 유료 게재한다”고 밝혔다.

김옥두 전 의원은 “당시 연금 중이던 김 전 대통령이 동아일보 기자들을 격려하기 위해 나를 보냈다”며 “김 전 대통령은 중앙정보부의 감시에도 불구하고 주위 사람들에게 광고 동참을 권유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동아 광고 사태는 1974년 박정희 유신정권이 정권에 비판적이었던 동아일보에 대해 광고주를 압박해 같은 해 말 광고 없는 지면이 나가도록 하면서 촉발됐다. 동아일보는 격려 광고를 모집했고, 75년 1월1일부터 5월 중순까지 1만여건의 격려 광고가 실렸다. 안창현 기자 blu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