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6.21 11:32 수정 : 2006.06.21 11:32

동의대 이준호 교수 세미나 주제발표

동의대 이준호 교수는 21일 "현 정부는 메이저 신문과 적대관계를 선언하고 인터넷 포털형 대안 미디어를 통해 정책 브리핑과 여론형성에 힘쓰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이날 오후 부산 동명대에서 언론정보연구소와 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가 '5.31 선거보도의 공정성과 부산발전'을 주제로 공동 개최하는 특별세미나 주제발표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교수는 "이는 수구적 성향을 지닌 메이저 신문의 보도태도가 정부의 좌파적 신자유주의 노선과 근본적으로 맞지 않으며 독자 수가 여론을 결정적으로 대변하는 가치를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5.31 지방선거 대패 이후에도 이 같은 입장에는 변화가 생기지 않고, 신문시장 개혁을 위한 입법에 주력하고 있다"면서 "마치 정부여당 및 친정부 언론과 메어저 언론이 설득전이라는 경쟁양상으로 발전하는 듯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언론에 대한 정부의 통제는 정통성과 정당성, 국민의 지지도가 높지 않으면 불가능하다"면서 "언론을 경직된 방식으로 규제하기 보다 자율규제를 강화하고 언론선택에서 수용자의 합리화를 도모하는 게 효과적인 대 언론관이 될 수 있다"고 역설했다.

동서대 이효성교수와 동명대 김채환 교수는 '5.31 지방선거 보도의 공정성'을 주제로 한 공동 발제문에서 "언론은 대체로 선거의 정책이슈나 후보성향, 통치 이미지 등 공익적 보도보다 추문보도 또는 폭로 저널리즘과 같은 흥미위주의 보도에 훨씬 큰 비중을 두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 등은 또 "선거에서 언론은 후보자와 정당들이 제시하는 정책적 이슈를 심도있게 분석.보도하고 중요한 의제를 발굴해 이와 관련된 정보를 유권자들에게 제공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민영규 기자 youngkyu@yna.co.kr (부산=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