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6.10.11 19:46
수정 : 2006.10.11 22:38
|
교육방송 노동조합 조합원들이 지난 9일 아침 출근을 하려는 구관서 사장(가운데)을 가로막고 있다. 사진 교육방송 노조 제공
|
노조 “교육부출신” 한달째 반대투쟁
방송위 “적법하게 선임…사퇴 불가”
<교육방송>(EBS)이 구관서 사장 임명을 둘러싸고 한달이 넘도록 진통을 겪고 있다.
교육방송 노동조합은 지난달 4일 구 사장이 내정된 직후부터 취임 반대 투쟁을 벌이며 석·박사 논문 중복 등 그의 개인 의혹들을 제기하고 있다. 하지만 구 사장이나 그를 사장으로 임명한 방송위원회는 이런 의혹들을 부인하며 사퇴 불가 뜻을 고수하고 있다.
노조의 반대에는 구 사장이 교육부 관료 출신이라는 거부감이 자리잡고 있다. 지난해 정책홍보관리실장(1급)을 끝으로 교육부를 떠난 구 사장은 공모를 거쳐 사장에 임명됐다. 노조는 “교육방송의 역사는 교육부로부터 독립의 역사인데, 시계를 거꾸로 돌릴 수 없다”고 밝혔다. 방송 편성 관여 등 과거 교육부의 간섭이 교육방송의 발전을 가로막아 왔다는 게 노조의 판단이다.
노조는 여기에 더해 구 사장의 석·박사 논문 중복 의혹과 자녀 위장전입 등을 문제 삼고 있다. 노조는 “논문 중복 의혹과 관련해 ‘민주화를 위한 교수협의회’로부터 ‘곳곳에서 자기 표절을 해, 형식과 내용에서 심각한 결격사유가 있다’는 회신을 받았다”고 밝혔다. 추덕담 노조 위원장은 “처음에는 교육부 관료여서 반대했는데, 이제는 교육과 관련해 제기된 각종 의혹들 때문에라도 사장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구 사장은 교육방송과 교육부의 관계에 대해 노조와 정반대의 생각을 하고 있다. 구 사장은 “교육방송과 교육부는 건전한 협력관계로 발전하는 게 서로에게 도움이 된다”며 “그런 점에서 다른 사람보다 사장으로 좋은 조건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구 사장은 또 “장모가 아파 제때 이사를 하지 못하면서 결과적으로 위장전입을 하게 됐다”고 사과한 것을 빼고는, 나머지 의혹은 강하게 부인하고 있다.
방송위 역시 구 사장에 대한 사퇴 권유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 최민희 방송위 부위원장은 “전체 7명의 사장추천위원회에 노조가 사실상 추천한 인사 2명을 참여시켜 민주적 절차에 따라 사장을 선임했다”며 “노조가 제기한 각종 의혹들도 검증했지만, 문제될 게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방송위도 교육방송에는 방송 전문가보다 교육 관료 출신이 더 적합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교육방송 보직팀장 39명이 9일 보직을 사퇴하고 노조와 함께 사장 출근 저지에 나서기로 했다. 반면 본부장과 센터장들은 같은날 “조직의 안정을 해치는 행위는 결단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노조를 비판하는 글을 사내 게시판에 올렸다.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기는커녕 상황이 점점 더 꼬여가고 있는 것이다. 김순배 기자
marcos@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