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11.08 23:05 수정 : 2006.11.08 23:05

한국언론재단 “이달부터 전송·복제권 신탁관리”
기업체·정부에 정식구매 요구…개인은 제외

신문사들이 디지털뉴스 저작권을 지키려는 공동 노력이 본격화된다. 신문기사를 인터넷상에서 마음대로 ‘펌질’해가는 관행을 고쳐나가자는 뜻이다.

한국언론재단은 11월 초부터 〈한겨레〉 등 35개 중앙·지방 신문사가 참여한 가운데 뉴스 저작권 신탁사업에 들어갔다. 재단 쪽은 지난달 30일 기자회견을 열어 개별 신문사 뉴스 저작권 가운데 기사의 전송권, 복제권을 재단쪽이 신탁받아 관리하면서 저작권의 일원적인 판매와 불법 사용 감시, 보호 활동을 하겠다고 밝혔다.

재단은 우선 올해와 내년에는 개인을 제외한 기업체와 정부 관공서를 상대로 기사 정보를 정식 구매하도록 하고, 기업체와의 계약, 기사 검색 시스템 보급 사업을 본격화하겠다고 설명한다. 내년 30억원, 내후년 100억원 정도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예측도 하고 있다.

단, 신문사들이 개별적으로 계약을 맺고 제공하는 포털에는 당분간 개입하지 않기로 했다. 집단 권익 보호의 성격이 부각되는 방식을 택한 셈이다.

백민수 재단 미디어콘텐츠팀장은 “방치됐던 기사 저작권 시장의 유통질서를 바로 세우고 위기에 놓인 종이 신문들의 수익을 창출한다는 게 가장 큰 취지”라고 말했다.

한편, 〈조선일보〉는 이와 별도의 디지털 뉴스 아카이브 공동사업을 추진하면서 참여 언론사를 모으고 있다.

이미 이달 초까지 중앙일간지 등을 돌며 비공식 설명회를 마쳤으며, 연말까지 유통 시스템을 구축하고, 내년 1월부터 본격 활동에 들어가겠다는 계획이다.

이 신문사 경영기획실 실무자인 박창신 기자는 “우리는 재단 쪽과 포털 쪽에 제공하는 신문사 뉴스 콘텐츠의 초기 가공 판매에 관심이 많다. 표준화한 물류센터 구조라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재단 쪽과 조선일보는 최근 협력 문제를 논의했으나 견해 차이를 확인했다. 따라서 저작권 사업은 당분간 두 갈래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언론재단의 사업 준비 과정에 참여했다가 빠진 중앙일보를 비롯해 동아일보, 매일경제 등의 언론사들은 재단 쪽과 조선일보의 행보를 지켜보며 참가 여부를 저울질하고 있다.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