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포털 뉴스 현황과 대안’ 세미나
인터넷신문 서비스에서 시민기자의 역할이 감소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송경재 경희대 학술연구교수와 이준희 한국인터넷기자협회 사무처장은 22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2가 한백교회에서 '한국 인터넷신문ㆍ포털뉴스 서비스 현황과 대안찾기'란 주제로 열린 세미나에서 "시민의 참여가 인터넷뉴스 서비스 운영의 중요한 기반인 것은 사실이지만 인터넷신문에 전문기자들의 기사가 주류를 이루고 있어 시민기자의 역할이 줄고 있다"고 지적했다. 송 교수 등은 "인터넷신문이 초창기에 활발한 의사소통의 공간이었으나 시민참여 저널리즘이 위기를 맞고 있다"고 진단하면서 "시민기자 제도를 체계적으로 유지하고 재교육하는 노력이 있었는지 되짚어보야야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신문사마다 UCC(사용자 제작 콘텐츠)라는 방식을 고민하면서 시민기자 제도의 침체는 방관하고 있는 것은 이중의 모순"이라며 "시민기자의 활성화와 시민참여 게시판, 사이버 폴 등 참여 저널리즘의 강점을 보여주는 것이 인터넷 서비스인 만큼 시민기자를 대상으로 하는 전문연수가 필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송 교수 등은 "종이신문에 바탕을 둔 오프라인 종속형과 오마이뉴스, 프레시안 등의 독립형, 서프라이즈 등의 토론형, 포털 사이트 등 인터넷 뉴스 서비스를 4가지로 분류해 유형을 분석한 결과 서비스의 형태와 구성요소가 평준화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인터넷 뉴스 서비스 다원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 '포털 저널리즘'과 관련해 "포털 사이트가 네티즌위원회 등 자율적인 감시장치를 마련하고 윤리 강령이나 편집 가이드라인을 제정해 준수해야 하며, 매체의 다양성을 고려해 지방이나 군소 인터넷신문에 서비스 지면을 할애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신문발전위원회 주최로 열린 이날 세미나에서는 최방식 한국인터넷언론인포럼 총무와 이원태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연구원 등이 토론자로 참석했다.백나리 기자 nari@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