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피습 사건 당시
|
일심회 사건·박근혜 피습·포스코 사태
지난주 검찰이 중간 수사 결과를 발표한 이른바 ‘일심회 사건’이 올해 대표적인 인권 침해 및 편파 보도 사례로 꼽혔다. 11일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열린 ‘2006 한국인권보고대회’에서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민변·회장 백승헌)은 “‘일심회 사건’의 경우 일부 보수언론이 시민사회단체와 386 인사들을 공공의 적으로 몰아가면서 공안 정국과 냉전 시대의 대립을 부추기는 선정적 보도 태도를 보였다”고 밝혔다. 민변은 구속자와 그 가족들의 얼굴과 실명을 공개하고 이들의 직장이나 운영 업체, 과거 피의사실까지 거론한 것 등을 언론의 무책임한 인권 침해 사례로 들었다. 또 일부 신문은 여중생 촛불시위마저 북한과 연결된 것으로 깎아내리는 태도를 보여, 왜곡 보도의 ‘전형’을 보여줬다고 민변은 말했다. 지난 5월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피습 사건(사진)도 왜곡 보도의 주요 사례로 꼽혔다. 민변은 박근혜 전 대표 피습 사건에 대해 “일부 언론에서 5·31 지방선거를 앞두고 여론을 조종하는 데 이용할 정치적 목적으로 단순 상해범을 정치 테러범으로 만드는 보도를 일삼았고, 이 과정에서 범인 지씨의 인권이 철저하게 침해됐다”고 지적했다. 이밖에 사립학교법 개정과 관련해 ‘여야 3당과 한나라당 사이의 정쟁’ 또는 ‘교육부와 사학 사이의 힘겨루기’ 양상에만 초점을 두는 식으로 보도해 국민들이 염증을 느끼게 한 것과, 포항 포스코 사태를 보도하면서 왜곡된 하도급 구조나 비정규직 건설노동자의 열악한 노동 조건에 대한 해결책 제시 없이 노조를 일방적으로 매도한 것도 불공정 보도로 지적됐다. 전진식 기자 seek16@hani.co.kr 사진 시비에스 노컷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