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12.20 18:38 수정 : 2006.12.20 18:39

‘세금폭탄’이라는 용어를 써가며 종합부동산세 저항 움직임을 크게 보도하던 보수신문들이, 막상 종부세 자진신고율이 높게 나타나자 애써 이를 외면했다.

국세청은 19일 종부세 자진 신고율을 집계한 결과, 신고율이 97.7%에 이르렀다고 발표했다. 지난해(96%)보다 1.7%포인트 늘었을 뿐 아니라, 올해 신고 대상이 지난해(7만4천명)보다 5배나 늘어난 것에 비춰보면 주목할 만한 결과였다. 하지만 보수신문들의 20일치 보도는 과거 종부세 저항 움직임을 크게 보도했던 것에 비춰 눈에 띄게 적었다.

〈조선일보〉는 이날 경제섹션 2면에 1단으로 ‘종부세 자진신고율 97%’라고 짤막하게 보도하면서, 별도의 해설없이 지역별 신고율 등 수치만을 보여줬다.

〈동아일보〉 역시 수도권 소식을 다루는 메트로면(16)면에 ‘종부세 신고율 98% 육박’이라는 1단 제목으로 기사를 짧게 다뤘다.

〈중앙일보〉가 유일하게 주요면인 3면에 ‘종부세 98%가 자진납부, 국세청도 놀랐다’고 다뤘다. 〈중앙일보〉는 ‘전문가들은 저항하며 버티는 것보다 3% 공제혜택이라도 받고 나중에 이의를 제기하는 게 유리하다는 계산이 분위기를 바꾼 것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정정·반론기사 성의없다” 76%


언론중재위원회에 보도에 대한 조정·중재를 신청한 사람들 가운데 과반수는 신문, 방송 등에 실린 정정·반론기사가 ‘성의 없는 형식’에 불과하다고 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내용은 언론중재위가 지난해 7월 말부터 1년간 심리에 참석했던 신청인 193명과 피신청인(언론인) 153명을 대상으로 설문해 최근 공개한 조사 결과다. 정정·반론보도를 본 적이 있다고 응답한 신청인(170명)의 75.9%는 정정·반론보도가 ‘형식적이며 다른 보도에 비해 성의 없어 보였다’고 답했다. ‘내용이 불성실하고 기사 크기도 작았다’(41.2%)는 평가도 상당수였다.

노형석 기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