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1.10 21:17 수정 : 2007.01.10 21:17

언론개혁시민연대 공동대표 김영호

대통령 선거가 아직 1년 가까이 남았다. 그런데 새해 첫날 언론들이 앞다퉈 대선주자 지지도 여론조사를 주요 기사로 다뤘다. 하루가 멀다하고 여기저기서 나오는 내용과 별로 달라진 게 없는데 말이다. 바닥 모르는 노무현 대통령의 지지도를 지렛대 삼아 본격적인 대선국면으로 몰고 갈 태세다. 대통령의 권력 누수에 겹쳐 국정 표류를 거듭할 텐데 언론은 대선에만 함몰된 형국이다.

노 대통령의 숱한 말, 말, 말이 잦은 설화를 낳는다. 언론 보도에 뒤이어 진의를 왜곡했다든지 하는 참모들의 해설이 뒤따른다. 더러는 맞는 말이나 듣는 이의 귀를 탓하는 말이 너무 많다. 대통령의 언행은 정책 방향을 갈음하는 중요한 의미를 담는다. 국가정책이란 당사자에 따라 이해가 갈리니 세심한 어휘 선택이 필요하다. 가령 사회보장을 말하더라도 복지로 말할지, 분배로 표현할지 고심하는 지혜가 있어야 한다. 그런데 비속어가 쏟아지고 참모들이 말싸움에 끼어든다. 권위와 신뢰의 위기를 자초한 셈이다.

취임 초 반짝했던 노 대통령의 인기가 나락을 모르고 추락한다. 언론은 여론조사를 통해 그것을 확인하곤 한다. 그리곤 과거보다 더 부지런히 대선 주자의 인기를 측정한다. 후보감 윤곽도 드러나지 않은 대통령 취임 1년께부터 예비주자니 차기주자니 해서 띄우기 시작했으니 말이다. 과학적 방법이라고 하나 호-불호만 따지니 거기에 도사린 함정을 아는지 모르겠다. 인기란 날개가 달렸는지 부침이 심하다. 과거의 대선이 그것을 말하고도 남는다.

지난 4년 동안 총선거, 지방선거, 여러 차례의 재-보선이 있었다. 거기에는 주연과 조연이 뒤바뀌어 대선을 방불케 하는 언론보도만 있었다. 대권 도전자라는 당 대표나 당 의장의 뒤를 졸졸 따라다니며 시장바닥을 누비는 그들의 언행을 묘사하기에 바빴다. 그들은 언론에 부각되어 대선주자로 자리매김했지만 막상 지역에서는 누가 출마했는지 모를 판이었다. 저질 정치인의 양산은 후보도 정책도 검증을 하지 않는 언론 탓이 크다.

노 대통령은 권력 누수를 재촉하는 다른 빌미도 줬다. 집권당 안 대선주자 두 사람을 장관 자리에 앉혔다. 상황변화에 대비했던 것인지 또 한 사람에게는 총리를 줬다. ‘대선후보 관리’라는 명목이었다. 국무위원을 이런 정략적 발상에서 발탁하니 서둘러 대권경쟁에 불을 붙인 꼴이 됐다. 언론은 국무위원 자격보다 그들 이름 앞에 대선주자라는 수식어를 붙이고 그 쪽에 더 무게를 두어 보도했다.

대통령의 권좌는 흔들리는데 국가적 난제가 산적해 있다. 아파트 값 폭등은 후폭풍의 먹구름을 머금고 있다. 거품이 일시에 꺼지면 폭발음을 낼까 두렵다. 과도한 주택담보 대출이 뇌관을 당기는 형국이다. 한-미 자유무역협정은 한국경제의 미국 예속화를 의미한다. 언론은 그들에게 난마 같이 뒤얽힌 국가적 현안에 대해 어떤 해법도 묻지 않는다. 그들도 입을 다물고 있다. 무엇을 보고 지지하란 말인가?

대선은 미인을 뽑는 경연대회가 아니다. 대통령은 연예인처럼 인기만 먹고살지 않는다. 출마 의사도 밝히지 않은 인사, 무의미한 소수점 이하의 인사까지 인기를 재서 줄줄이 세운다. 대선기사에 인물-정책 검증은 없고 인기 측정만 있으니 실패한 대통령만 나오나보다. 꼬리를 무는 여론조사가 인기만 말하니 인기 있는 사람 밀어주자는 밴드웨건(악대차) 효과를 낳을까 걱정이다.

언론개혁시민연대 공동대표 김영호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