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3.17 18:35 수정 : 2005.03.17 18:35

방송위, 지상파 디엠비 사업과 맞물리며 의제화
큰자본 입김에 지역방송·시청자 권익은 뒷전

위성 디엠비(이동멀티미디어방송)의 지상파 재전송 논란이 점점 뜨거워지고 있다.

노성대 방송위원회 위원장은 지난 10일 방송위 출범 5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위성 디엠비에서 지상파 프로그램을 일부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방송위원들은 보도·교양·오락 등 모든 장르를 다룰 수 있는 종합편성 채널사용사업자(PP)를 승인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지역방송과 언론단체들은 반대뜻을 분명히하고 나섰다.

지상파 재전송 왜?= 당초 위성디엠비 지상파 재전송 문제는 지상파 디엠비 사업자 선정이 마무리되는 3월말께 발표할 입장이었다. 방송위가 당초 예정보다 이르게 부분 재전송 문제를 언급하는 것은 5월부터 본 방송을 시작하는 위성디엠비의 콘텐츠 부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방송위가 지난해 말 티유미디어를 위성디엠비 사업자로 선정할 때 콘텐츠 개발을 강하게 주문했던 것과도 비교되는 대목이다. 방송위 관계자는 “이날 얘기된 것은 여러가지 안 가운데 하나일 뿐”이라며 “워낙 민감한 문제이기 때문에 아직까지 결정된 것은 없고, 전문가 토론회를 열어 입장을 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상파 방송 허가하겠다는 것”= 언론단체들은 방송위가 3월말 종합편성 채널사용사업자를 승인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아가면 지역방송 고사는 물론 지상파 디엠비의 유료화 논의에 불을 당길 것이라는 지적이다. 언론노조는 “에스케이티가 설립한 티유미디어를 배려하는 차원에서 나온 것”이라며 “종합편성PP의 승인은 또 하나의 지상파 방송을 허가하겠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언론단체들은 △위성디엠비 단말기를 텔레비전에 꼽아 방송을 볼 수 있는 티브이-아웃 가능 △기술 발달에 따른 지상파디엠비 서비스 권역 광역화 △지상파 디엠비 시장 형성 가능성 의문 등을 제시하면서 지상파 재전송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시청자 권익보호는?= 위성 디엠비에서 지상파 재전송이 허용되면 지상파 디엠비, 위성 디엠비 모두 지상파 콘텐츠로 서비스 경쟁을 하게 된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유료’서비스인 위성 디엠비를 통해 부분적으로 ‘무료’ 지상파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보게 되는 셈이다. 한편, 디엠비, 아이피 티브이 등 주요 방송정책에서 수용자들에 대한 고려없이 진행되는 것에 대해 경실련·기독교윤리실천운동본부·미디어세상열린사람들·매체비평우리스스로·한국여성민우회·민언련 등 70여개 시민단체들은 24일 ‘미디어수용자주권연대’를 발족하고, 시청자들의 권익보호에 나설 입장이다. 이들은 “방송환경 변화에 따른 정책 대안 제시 및 미디어모니터링 등 수용자 주권 확대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승경 기자 yami@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