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홍보실 “어떡하지” 기자 몰릴까 긴장 |
청와대가 22일 정부 부처 기자실을 통폐합한 '취재지원시스템 선진화 방안'을 발표하자 기자실을 운영하고 있는 기업체들이 긴장하고 있다.
23일 관련업계와 언론계에 따르면 경찰서와 정부 부처 등에 마련됐던 기자실이 한꺼번에 없어지면서 정부 부처나 시내 경찰서를 출입하던 기자들이 시내 곳곳에 마련된 기업체 기자실로 몰려들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기자들이 사무실을 나와 취재 중간에 기사를 쓸 장소를 구하려면 그나마 기댈 데라곤 대학이나 기업체 기자실 정도 밖에 없어 기자들이 몰려 올 것이 불 보듯 뻔한 상황에서, 기업체 홍보맨들은 쏟아질 기자들을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여간 곤혹스럽지 않을 수 없다.
일부 업체들은 벌써 업계 담당이 아닌 기자들이 오는 경우에 대비한 대책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중앙청사 인근에 위치한 한 회사는 정부부처 기자실 폐쇄 결정이 전해진 뒤 중앙청사 출입기자들로부터 기자실 이용에 대한 문의를 받고 비상이 걸렸다.
이 회사 관계자는 "내부 회의를 통해 일단 기자실 문을 출입카드 시스템으로 바꿔 출입기자에게만 출입카드를 주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잠정 결론을 내린 상태"라고 설명했다.
업계 홍보맨들은 기자실 통폐합이 청와대의 정책이기에 이와 관련한 언급을 극도로 조심하고 있지만 앞날에 대한 걱정을 감추지 못하는 모습이다.
전자업계의 관계자는 "출입기자들로부터 '경찰서 기자실이 없어지면 근처 경찰 기자들이 몰려드는 것이 아니냐'는 말을 듣고 벌써 걱정이 된다"며 "우리라도 출입기자 제도를 만들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찾아오는 기자들을 돌려보낼 수도 없고, 참으로 난감하다"며 "그렇다고 우리 업계와 전혀 관련 없는 사안을 담당한 기자들을 출입시키는 것도 문제인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기자실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우리 회사나 관련 업계를 취재하지 않는 기자들은 사실 받아들이기 힘들 것 같다"며 "그렇다고 언젠가 우리 회사 출입이 될 수도 있는 기자들을 문전박대하는 것도 참 곤혹스럽다"고 말했다.
산업 관련 부서를 출입하고 있는 한 중앙 언론사 기자는 "취재에서 기동력 있게 움직이려면 출입처 근처에 있어야 하는데, 그렇다고 근처 PC방에 갈 수도 없는 것 아니냐"며 "그나마 산업계 출입을 한 경험이 있어서 안면을 튼 업체가 있는 것을 다행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