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5.27 17:44 수정 : 2007.05.27 17:44

충북 충주에 사는 이석신(48) 독자

충북 충주에 사는 이석신(48) 독자는 군 생활과 광산 막노동을 하면서 노동 현장에서 쓰이는 많은 용어들이 일제침략기 잔재로 굳어진 것을 알고 바른 우리말로 옮기거나 우리글을 찾는 데 관심을 갖고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다 10여 년 전부터 광고기획사와 출판사를 운영하며 광고 문구나 홍보물(간판 등)에 우리말을 쓰려고 애쓰다 보니 자연히 우리가 평소에 잘못 사용하고 있는 말들에 대해 관심 있는 분들과 공유하고 싶은 간절함이 생겼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동안 수집하고 공부한 내용들을 모아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도서출판 ‘석기시대’)라는 책을 내고 고향인 충주 시민에게 무료로 나눠주기도 했습니다. 이석신 독자의 도움으로 우리말에 대해 흥미롭게 공부하는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가족과 함께 재밌게 풀어보세요.

1. 같은 것으로 바꾸어 대신함(축사를 ~합니다.)

① 가름 ② 갈음 ③ 갈름

2. 태어난 지 얼마 안 된 아기를 귀엽게 일컫는 말

① 간난이 ② 깐난이 ③ 갓난이

3. 줘야 할 돈을 내주다(값을 ~~)

① 치루었다 ② 치렀다 ③ 치뤘다

4. 폭행이나 협박으로 남의 재물을 빼앗는 것.

① 강도짓 ② 도둑질 ③ 강도질

5. 고양이의 발과 개의발 이라는 뜻(글씨를 함부로 갈겨 쓰다)

① 개발새발 ② 괴발개발 ③ 세발네발

6. 흰떡이나 쑥떡을 얇게 밀어 팥·콩 따위의 소를 넣어 반달 같이 만든 떡.

① 개피떡 ② 가래떡 ③ 계피떡

7. 귀밑에서 턱까지 잇따라 난 수염.

① 구레나루 ② 구레나룻 ③ 구렛나루

8. 여러 개의 굽이 휘어서 굽은 곳곳.

① 구비구비 ② 굽이구비 ③ 굽이굽이

9. 국가의 표상으로서의 인장, 임금의 도장

① 국새 ② 국쇄 ③ 국세

10. 흙, 토사 따위를 파내거나 파내서 차에 싣는 기계의 총칭

① 굴착기 ② 굴삭기 ③ 천공기

▣ 창간 1주년을 맞아 퀴즈에 대한 정답을 우편이나 전자우편(crm@hani.co.kr)으로 보내주시면 추첨을 통해 <하니바람> 윈드재킷(20명), 영화예매권 2매(10명), <천 개의 공감>(김형경)(20명)을 우송해 드립니다. 보내실 때는 정답, 이름, 주주·독자 여부, 주소, 연락처, 전자우편 주소를 반드시 써서 보내주셔야 합니다. (정답은 다음호에)

보낼곳 : 서울 마포구 공덕동 116-25 한겨레신문사 5층 마케팅실 독자CRM팀

응모 접수 마감일 : 2007년 6월15일 이전 접수분에 한해

당첨자 발표: 6월25일 <하니바람> 14호에

문의 : (02)710-0134, 0138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