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5.29 19:17 수정 : 2007.05.29 19:50

비판 쏟아진 ‘취재 선진화’ 토론회

“기자들이 새벽부터 국장·차관보 집 찾아가서 ‘뻗치기’하며 취재해야 하느냐. (기자실 통폐합하고, 사무실 출입제한하면) 정부·기자 모두 피곤해진다.”(이병선 오마이뉴스 부국장)

정부가 오는 8월 시행하겠다고 밝힌 ‘취재지원 선진화방안’이 현실성이 없기 때문에 유보 또는 백지화해야 한다는 비판이 전·현직 언론인과 여야 의원들로부터 쏟아졌다.

국회 언론발전연구회(대표 고흥길 의원)가 29일 오전 ‘참여정부 취재지원 선진화방안, 그 허와 실’을 주제로 연 토론회에서 발제를 맡은 최영재 교수(한림대 언론정보학과)와 토론자로 나선 현직 기자·의원들은 ‘선진화 방안’이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반대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기자 출신인 최영재 교수는 “브리핑실 통폐합을 곧바로 언론자유 침해로 연결시키는 데는 상당한 의문을 갖고 있다”고 전제하면서도 “기자실을 통폐합하면 (정부의) 홍보담당자·기자 모두 불편해지고 브리핑룸 이용도 줄어든다. 반대가 많아서가 아니라 비효율적인 정책이기 때문에 포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이번에 기자실을 없애도 정권이 바뀌면 기자실이 부활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비현실적인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토론에 나선 이보경 기자협회 부회장(〈문화방송〉 시사토론팀 부장)은 “정부는 (언론 문제를) 이번 기회에 바로잡지 않으면 다음 정부가 힘들다는 논리를 펴는데 개헌도 마찬가지였다. (기자들의 고정 좌석을 줄이는) 별것 아닌 일을 하면서 순교자적 발상, 엄숙주의에 빠져 있다”고 말했다.

김경호 기자협회 부회장(〈국민일보〉 조직강화팀장)도 “정보공개법 개정·브리핑 내실화를 꾀한 뒤에 기자실 통폐합을 해야 순서가 맞다”며 “8월 시행을 고집하지 말고 천천히 가자”고 제안했다.

장관 출신의 김명자 열린우리당 의원, 국정홍보처장을 지낸 신중식 민주당 의원, 기자로 활동했던 고흥길 한나라당 의원 등 언론에 밝은 여야 정치인들도 정부가 충분한 논의 없이 기자실 통폐합을 무리하게 강행하지 말라고 주문했다. 사회를 맡은 고흥길 의원은 “우리나라의 취재 방식이 구태의연하다는 지적도 있지만 (선진화 방안은) 빈대 잡는다고 초가삼간 불태우는 식이므로 백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민주노동당은 이날 의원총회를 열어, ‘국가정보소통체제 혁신을 위한 국회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정보공개법 개정 등을 논의하자고 여야 각 당에 제안했다. 중도개혁통합신당의 양형일 의원은 공공기관의 기자실 설치를 의무화하고 취재 활동을 적극 지원토록 하는 내용의 ‘공공기관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대표 발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