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12.27 20:08 수정 : 2010.12.27 21:08

국가미래연구원 발기인 참여

27일 창립한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의 싱크탱크인 국가미래연구원에 이병기(서울대 전기공학부 교수) 방송통신위원회 종합편성 및 보도전문채널 승인 심사위원장이 참여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이날 서울 강남구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국가미래연구원 발기인 총회에서 이 위원장은 ‘과학기술정보통신’ 분야에 이름을 올렸다. 이춘석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종편 선정은 무엇보다 중립성·객관성이 담보돼야 하는데 심사위원장을 맡은 인사가 특정 정파의 대통령 후보를 지지하는 모임에 발기인으로 들어가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며 “이병기 교수는 심사위원장직을 사퇴하는 게 마땅하다”고 밝혔다. 현재 이 위원장은 경기도 양평의 한국방송광고공사 남한강 연수원에서 심사위원 13명의 사업자 선정 심사를 총괄하고 있다.

이 위원장은 민주당 추천으로 올해 초까지 방통위 상임위원을 지냈다.

이날 국가미래연구원 원장에 내정된 김광두 서강대 교수는 “올해 초 이 교수에게 우리 연구원 모임에 동참할 뜻이 있는지 물었더니 ‘참여하겠다’고 했고, 과학기술정보통신 분야 전문가 그룹 모임 때 박 전 대표를 만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종편심사위원장이 되기 전의 일이니 굳이 이 문제와 연관시키지 말아 달라”고 말했다.

결국 이 위원장이 지휘한 종편 심사 결과를 두고 뒷말이 무성하게 됐다. 김서중 성공회대 교수는 “특정 정치인과 관계 있는 사람이 종편 및 보도채널 심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치에 있다면 해당 정치인과 방송사업 신청사들의 이해관계가 유착할 위험이 없지 않다”며 “방통위가 이 교수를 심사위원장으로 위촉하지 말았어야 하고, 이 교수 스스로도 고사했어야 마땅하다”고 지적했다.

최시중 방통위원장은 심사 돌입 당일인 23일 최종 사업자 선정 뒤 부적격 심사위원이 확인될 경우 “방통위가 책임지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태희 방통위 대변인은 27일 “이 위원장의 연구원 참여는 개인의 판단에 따른 선택으로 방통위는 전혀 그 사실을 몰랐다. 종편 심사와도 아무런 상관이 없다”고 말했다.

이문영 성연철 기자 moon0@hani.co.kr

[한겨레 주요기사]

■ 박근혜 싱크탱크, ‘조중동 목줄’ 쥐나
■ “김정은 생일선물 실은 열차 탈선”
■ 엔씨소프트 야구단 창단 나선 까닭은?
■ 한나라 정두언 “신자유주의, 이 길이 아닌가벼”
■ 박지성도 평발인데? 병 되는 발도 있어요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