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명박 대통령이 4일 오전 청와대에서 새해 첫 국무회의를 시작하기 전에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앞줄 왼쪽) 등 국무위원들과 이야기하고 있다. 뒷줄 왼쪽부터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 현인택 통일부 장관. 청와대사진기자단
|
광고금지 품목 완화 추진 논란
‘전문의약품’ 공익이유 광고 제한…미국 빼곤 불허
생수 광고엔 환경부 “관련법 재개정 없이는 불가”
보건단체 “약물 오남용·건보재정 악화 우려” 반발
공익을 이유로 광고가 제한돼온 품목들마저 종합편성채널 선정사들이 눈독 들이는 ‘사냥감’으로 변하고 있다. <한국방송> 2티브이 광고 축소 실패로 다급해진 정부가 광고금지 품목 완화를 대통령 업무보고에 넣으면서 논란은 상승작용을 일으키고 있다.
<조선일보>는 1일 신문(‘시장규모 비해 사업자 너무 많아…“종편 안착 위한 대책 필요”’)에서 전문가의 말을 빌려 의약·생수 광고를 종편사업자한테만 허용하라고 주장했다. 이명박 대통령 선거 캠프에 참여했던 박천일 숙명여대 교수도 기회가 있을 때마다 종편 지원책으로 17도 이상의 주류와 전문의약품 방송광고 허용을 강조해왔다.
|
광고금지 품목 완화 추진 상황
|
복지부 관계자도 “복지부는 약값 상승과 약물 오남용으로 환자에게 피해를 주는 전문의약품 광고 허용에 반대한다”며 “현재까지 방통위의 업무 협의 요청을 받은 바 없다”고 밝혔다. 방통위 스스로도 “쉽지 않을 걸로 본다”(방통위 관계자)며 전문의약품 광고 허용 성사 가능성엔 회의적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업무보고는 이제 논의를 시작해서 차근차근 검토하겠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종편 허용 시점에 쫓긴 방통위가 사회적 합의는 물론 정부 부처간 협의도 안 된 사안을 성급하게 대통령 업무보고에 포함시킨 것을 두고 “무책임의 극치”란 비판이 쏟아지는 이유다. 방통위는 업무보고에서 ‘2015년 광고시장 국민총생산 대비 1%’를 공언했다. 김민기 숭실대 교수는 “국민을 위해 종편이 있는 것이지, 종편을 위해 국민이 존재하는 게 아니다”라며 “공익 차원에서 광고를 금지해온 품목들을 종편 광고 확보를 위해 허용을 검토한다면 본말이 전도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문영 김정필 김양중 기자 moon0@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