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6.16 17:49 수정 : 2011.06.16 19:22

한국방송

노조 “보도국장, 김해수쪽서 반발한다며 추가취재 지시”
보도국 간부 “액수와 횟수 명확하지 않아서” 외압 부인

<한국방송> 보도본부 사회2부 법조팀이 김해수 전 청와대 정무1비서관의 부산저축은행 비리 연루 의혹사건을 단독 취재해 기사까지 출고했으나 보도국 간부들이 출고를 늦추는 바람에 경쟁사에 낙종해 노조가 반발하고 있다.

한국방송 보도국 간부들은 이례적으로 취재진에게 ‘취재경위서’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방송공사 새노조는 16일 노보를 통해 “보도국 사회2부 법조팀은 지난주 청와대 정무제1비서관 출신이자 이명박 대통령 후보 캠프 비서실 부실장을 지낸 김해수 한국건설관리공단 사장이 부산저축은행 비리에 연루됐다는 구체적인 녹취를 확보하고 검찰쪽의 확인도 받았다”면서 “이에 따라 법조팀은 지난 13일 편집회의에 발제하고 9시뉴스에 보도할 예정이었으나 임창건 보도국장이 ‘김 전 비서관쪽에서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며 하루 더 추가취재를 하라고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노보는 “박재완 장관에 대한 집중보도가 방영되지 못한 뒤 연이어 권력비판 기사가 가로막히는 상황이 생기고 있는 셈”이라고 지적하며 권력개입 의혹을 제기했다.

노보는 “<에스비에스>가 14일 저녁 ‘단독보도’라고 김 전 비서관의 의혹을 보도해 한국방송은 특종을 취재하고도 앉아서 물을 먹은 꼴이 되었다”면서 “에스비에스 보도뒤 임 국장은 뉴스 후반부(30번째)에 있는 관련 리포트를 11번째로 끌어올렸으나 이 과정에서 김 전 비서관이 원고내용을 구체적으로 지목하며 한국방송에 항의하는 일까지 벌어졌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한국방송 간부들 가운데 누군가가 원고내용을 귀띔해 준 것으로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한국방송 기자협회는 20일 보도위원회를 열어 보도국 간부들에게 기사누락 경위에 대해 해명을 요구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한국방송 보도국의 한 간부는 <한겨레>와의 전화통화에서 “기사가 첫 출고된 13일 시점에서는 금품수수 액수와 횟수가 특정되지 않아 그대로 나갈 수 없는 상황이어서 보완취재를 지시했다”면서 “14일 오후 5시께야 수천만원 수수 사실이 취재됐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번 일은 특종, 낙종의 문제가 아니라 기사의 요건과 관련된 사안”이라며 외압의혹을 부인했다.

이 관계자는 또 경위서 제출요구에 대해 “부족한 팩트가 무엇이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취재보고서를 제출해달라는 것이지 경위서는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한국방송의 한 관계자는 “13일 출고된 기사는 검찰 수사라인에서 김 전 비서관에게 금품을 건넸다는 팩트를 취재하는 등 충분히 취재한 사안으로 14일 출고된 기사와 거의 차이가 없다”면서 “국민적 관심사인 데다 언론사간 경쟁이 붙어 있는 사안에 대해 간부들이 보강취재를 지시한 것은 외부의 눈치를 본 것이라고 해석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도형 선임기자/트위터 @aip209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