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매일경제> 종편 4곳의 대주주인 일간지들이 연일 지면에서 자사 종편 시청률과 프로그램을 소개하는 기사를 싣고 있다.
|
방송 일주일 ‘초라한 성적표’
평균 시청률 0.5% 밑돌아
50대 이상이 시청층 과반
“틈새시장 공략 못하고
지상파 뒤꽁무니 쫓는 격
황금채널 특혜에도 미진”
종합편성채널(종편)이 지난 1일 개국했으니 8일로 방송 일주일이 넘었다. 언론학자 등 전문가들은 종편이 대주주인 이른바 ‘조·중·동·매’ 신문의 논조를 답습해 친여·보수 편향의 색깔을 확연히 드러냈다고 평가했다. 지상파급 편성을 내세웠음에도 종편 4사의 개국 뒤 평균 시청률은 0.5%를 밑돌고 있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인터뷰(종편 4사), 박정희 전 대통령의 인간적 면모를 부각시킨 영상물(<티브이조선> ‘잊고 있었습니다’), ‘청와대의 밥상’ 다큐(<매일방송>) 등 과거 군사정권 시기에 대한 향수를 자극하거나 보수 편향의 목소리를 드러낸 프로그램이 특히 입길에 오르고 있다. 권혁남 전북대 교수(신문방송학)는 “종편 개국 특집의 박근혜 인터뷰나 한-미 자유무역협정 등에 관한 뉴스 보도는 균형감각을 잃은 편향적 보도였다”고 지적했다. 김희경 미디어전략연구소 연구실장은 “청와대 주방을 다룬 매일방송의 ‘청와대의 밥상’ 다큐는 주로 박정희, 이승만 전 대통령에게 초점을 맞춰 그들의 소탈한 인간성을 부각시켰다”고 지적했다.
‘조중동 방송 공동모니터단’을 이끌고 있는 박중석 언론노조 민주언론실천위원장은 “조중동 방송은 언론의 기본 원칙인 사실 확인조차 소홀히 하는 보도를 내보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강호동이 23년 전 일본의 야쿠자 모임에 참석했다는 <채널에이> 보도는 강씨가 실제 그 조직에 가담했는지 여부는 확인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최구식 의원 비서의 선관위 누리집 해킹 사건을 다룬 티브이조선의 지난 3일 뉴스를 보면 앵커 멘트가 ‘2천년 전에 시저도 브루투스 너마저, 이러면서 숨을 거두지 않았느냐’로 시작했다”며 “이번 사건의 책임을 의원 비서에게 전가하고 꼬리자르기에 나선 모습이었다”고 말했다.
|
김황식 국무총리가 종합편성채널 4사 공동 개국식이 열린 지난 1일 오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