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립제작사협회 배대식 기획팀장
|
배대식 독립제작사협 팀장이 말하는 ‘종편 100일의 횡포’
4~6회만에 무더기 중단
제작사 초기 투자비 날려
계약서 없이 제작케 한뒤
비용 지급 않거나 후려쳐
강제 종영 프로 베끼기도
“종합편성채널(종편) 개국 한달여 만에 25개 프로그램이 막을 내렸다. 종편 횡포에 외주제작사들이 빚더미에 나앉았다.”
시사·교양·다큐·오락 프로그램을 만드는 외주사로 구성된 독립제작사협회 배대식 기획팀장은 15일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조기 종영 피해를 보고도 전면에 나설 수 없는 ‘을’의 위치에 있는 군소 제작사의 힘없는 목소리를 전했다. 협회는 해오름프로덕션·코엔미디어 등 방송사에 프로그램을 공급하는 130여 외주제작사로 구성돼 있다.
지난해 12월1일 개국한 <티브이조선> <제이티비시> <채널에이> <엠비엔> 등 보수신문들이 대주주인 4개 종편채널은 지난 9일 출범 100일을 맞았다. 외주제작산업 활성화, 콘텐츠업체와의 상생은 보수신문이 종편을 따내려 내세웠던 명분이기도 했다. 이들 신문은 종편 사업자 선정을 앞두고 콘텐츠 제작산업을 주도하겠다는 기사도 양산했다. 조·중·동 종편 준비팀은 지상파가 해온 것과 같은 불공정거래를 없애고 동반성장을 하겠다는 양해각서를 제작사들과 체결했다. 하지만 개국 100일이 지난 현실은 반대다.
배 팀장은 “개국 시점에 내보내는 프로그램이라 기대감을 갖고 제작사들이 길게는 지난해 초부터 준비했는데 (일부 프로그램은) 4~6회만 나간 뒤 중단됐다. 제작비는커녕 기획료, 세트비, 피디·작가 인건비 등 초기 투자비를 고스란히 날렸다”고 말했다. 한 제작사는 5천만원짜리 버스를 세트로 하는 이색 프로그램을 선보였는데 4회 만에 종영당해 600만원에 되팔아야 했다고 한다. 그는 “최소 투자비 회수 분기점인 6개월은 편성을 보장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배 팀장은 피해를 본 외주제작사나 종편 프로그램 이름을 밝히는 것을 극구 피했다. “알려지면 종편사한테서 2, 3차 피해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
한 외주제작사의 직원들이 14일 오후 서울 양천구 목동 독립제작사협회 편집실에서 한 케이블 방송사의 프로그램을 편집하고 있다. 독립제작사협회는 방송사에 프로그램을 만들어 공급하는 130여 외주제작사로 구성됐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