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영희 선생 타계 2주기를 이틀 앞둔 3일 저녁 서울 견지동 조계사 한국불교역사문화관에서 ‘해직 언론인 복직 촉구 콘서트’가 열리고 있다. 왼쪽부터 노종면 전 <와이티엔>(YTN) 노조위원장, 신홍범 전 조선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 위원장, 리 선생 부인 윤영자씨.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
리영희 2주기 ‘해직언론인 복직 콘서트’
문화방송 해직자 등 200여명 참석
70·80 선배들 경험 나누며 위로
“MB정권서 공영방송까지 타락” 꼬집어
‘잘못된 언론 지형 바로잡기’ 다짐
“나의 글을 쓰는 유일한 목적은 진실을 추구하는 오직 그것에서 시작하고 그것에서 그친다. 쓴다는 것은 우상에 도전하는 이성의 행위다. 그것은 언제나 어디서나 고통을 무릅써야 했다.”(리영희 <우상과 이성> 중에서)
리영희 선생(1929~2010)은 군사정권이라는 우상에 맞서 글이라는 이성으로 싸우다 1969년과 71년 <조선일보>와 <합동통신>에서 거듭 해직당했다. ‘원조 해직 언론인’인 리 선생이 해직과 투옥의 고난을 겪은 지 40여년이 지났지만 지금도 후배 언론인들의 수난은 이어지고 있다. 이명박 정권 5년 동안 해직당한 언론인이 24명, 징계를 당한 언론인은 500여명이다. 이런 현실 때문에 리 선생 2주기 행사는 ‘해직 언론인 복직 촉구 콘서트’로 진행됐다. 서울 견지동 조계사 불교역사문화관에서 3일 저녁 열린 행사에는 궂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원로 해직 언론인을 비롯해 200여명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 참석하신 해직 언론인 선배님들은 무려 40년 가까이 일터로 돌아가지 못하고 계십니다. ‘새내기 해직 언론인’인 저는 이분들을 뵈니 힐링이 됩니다.” <문화방송>(MBC)에서 지난 6월 해고당한 최승호 피디가 ‘70·80 해직’ 선배들 앞에서 말문을 열자 객석에서는 웃음이 터졌다.
그러나 웃음꽃도 잠시, 원로 해직 언론인들이 해직 당시와 현재를 비교하며 “40년 전 군사정권과 이명박 정권은 다를 바가 없다”고 목소리를 높이자 분위기가 사뭇 비장해졌다. 1974년에 해직당한 신홍범 전 조선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 위원장은 “조선일보는 군사정권 아래 망가질대로 망가졌는데, 지금은 조선일보뿐 아니라 공영방송까지 자발적으로 타락하고 있다”고 말했다. 1980년 <경향신문> 해직자인 표완수 <시사인> 대표도 “엠비 정권은 군사정권 시절과 비슷하게 후퇴를 거듭하고 있다. 시민들도 깨어나 언론을 바꾸는 데 힘을 보태야 할 때”라고 말했다.
“오늘의 리영희들, 그대의 자리는 ‘현장’”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