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일경제 2월2일치 1면
|
“자본시장 독버섯” “폭주 언론”
양쪽, 지면 통해 맹비난
양대 경제 신문인 <매일경제>(매경)와 <한국경제>(한경)가 서로에 대해 전면전에 나섰다. 두 경제지는 서로 “자본시장의 독버섯”, “폭주 언론”이라고 맹비난하며 지면을 이용해 이례적인 싸움을 벌이고 있다.
한경은 5일치 “‘폭주언론’ 매일경제를 고발한다” 시리즈 1면 머리기사와 한 면을 할애한 기사로 매경을 공격했다. 한경은 “매일경제, 광고·협찬 안하면 무차별 보복기사”라는 제목의 1면 머리기사에서 “매경의 일탈과 파행·횡포를 방관할 수 없다. 매경의 폭주를 지금 제지하지 않는다면, 장차 언론을 빙자한 거악이 출현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또 “매경은 광고나 협찬을 거부하는 기업에 사소한 잘못을 트집 잡는 보복성 기사를 서슴지 않아왔다. 한 편집 간부가 금융권에 광고 단가 인상을 요구하면서 협박성 이메일을 보냈다 들통이 난 것은 아주 작은 사례”라고 지적했다. 이밖에도 매경이 “자사가 투자한 주택 사업에 대한 홍보 기사를 남발한 뒤 사업이 여의치 않자 투자금을 돌려 달라며 관련 업계를 무차별로 압박”했고, “2011년 종합편성채널(종편) 출범 당시 자본금을 충당하기 위해 출자를 거절한 수많은 기업과 금융사를 돌아가며 기사로 맹폭했다는 지적”이 있다고 밝혔다. 한경은 “광고를 내거나 자본금을 달라고 해 안주면 고발성 비판 기사를 게재하는 식이라면 이미 언론일 수 없다”고 주장했다.
매경 쪽은 한경이 원색적 표현을 쓰며 매경을 공격한 이유에 대해 “지난 기사에 대한 보복성”이라고 주장했다. 서양원 매경 경제부장은 “검찰이 지난달 31일 한경이 연루된 주가조작 사건 수사 결과를 발표했다. 한경 쪽에서 전화를 해 ‘회사 이름을 빼달라, 제목을 바꿔달라’는 등의 요구를 했지만 받아주지 않자 보복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매경은 1일 사회면에 한경의 자매 매체인 <한국경제티브이>의 전 피디와 이 방송에 출연한 증권 전문가가 주가조작 혐의로 구속됐다는 기사를 싣고 2일에도 1면 머리기사와 7면 한 면을 통해 “자본시장 독버섯 고발한다”며 이 사안을 집중 보도했다. 서 부장은 “우리 기사가 나가기 전까지 주가조작에 대해서는 사과 한 마디 없던 한경이 언론 윤리를 운운하는 것이 상식적이냐”고 비난했다.
|
한국경제 2월5일치 1면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