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문환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장이 26일 오전 김재철 <문화방송>(MBC) 사장의 해임안을 처리하기 전 이사장실로 들어가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
공영방송 회복·해고자 복직 등 과제 산더미
MBC 새 사장 누가 되나 촉각
황희만·정흥보·구영회 등 물망에
‘김재철 입’ 이진숙 본부장도 거론
방송사 내부 ‘이 본부장 거부감’ 커
방송문화진흥회(방문진)가 이명박 정부의 ‘낙하산’ 인사와 언론 장악의 대명사였던 김재철 <문화방송>(MBC) 사장을 26일 해임하면서 문화방송 안팎에서는 안도의 한숨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문화방송 정상화를 위해서는 망가진 뉴스와 시사 프로그램 회복, 해고·징계자 문제 해결, 분열된 조직의 통합 등 과제가 산적해 있다. 따라서 박근혜 정부 하에서 임명될 신임 사장이 누구냐에 따라 참된 의미의 정상화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는 시각이 많다.
문화방송이 해결해야 할 문제 가운데 우선 꼽히는 것은 망가진 프로그램들의 원상회복이다. 문화방송은 이미 ‘3등 방송’으로 전락했다. <뉴스데스크>는 불공정 방송의 상징처럼 돼 시청자들의 외면을 받고 있다. 지난해 11월 방송 시간을 오후 8시로 옮긴 뒤에도 시청률은 6~8%대다. 대표적 시사 프로그램이던 <피디수첩> 역시 작가 8명 전원이 해고당하고 시용 피디들이 배치되면서 신뢰도가 추락했다. <사시매거진 2580>도 ‘아이템 검열’ 논란이 이는 등 우여곡절을 겪어왔다.
박재훈 문화방송 노조 홍보국장은 “새 사장이 임명되면 뉴스의 공정성을 보장하고, 시사 프로그램 등 문화방송이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였던 부문의 경쟁력을 회복하는 데 가장 관심을 두어야 한다. 그것이 추락한 위상을 끌어올리기 위한 첫걸음”이라고 말했다.
역시 중요한 과제는 최승호 피디, 박성제·박성호 기자, 정영하 전 노조위원장 등 해고자 8명의 복직 문제다. 김 사장이 지난해 12월 말 이근행 전 노조위원장 등 2명을 ‘특별채용’ 형식으로 복직시켰지만, 지난해 파업 관련자들은 모두 회사 밖을 떠돌고 있다. 문화방송 해고자 문제 해결은 <와이티엔>(YTN) 등 다른 언론사 해고자 문제와도 연결될 수 있다. 와이티엔도 현재 노종면 전 노조위원장 등 6명이 회사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
지난해 10월8일 오후 5시께 정수장학회를 방문하기 위해 이진숙 문화방송(MBC) 기획홍보본부장(오른쪽)과 이상옥 문화방송 전략기획부장이 서울 중구 정동 경향신문사 1층에서 엘리베이터를 기다리고 있다. 이날 이 본부장과 최필립 정수장학회 이사장이 나눈 문화방송 및 부산일보 지분 매각 논의는 7일 뒤인 15일 <한겨레> 최성진 기자의 보도로 외부에 알려졌다. 경향신문 제공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