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떠다니는 사진과 동영상 등의 사실 여부를 판단해 언론사에 공급하는 ‘스토리풀’의 누리집 화면. “세계 최초의 소셜 뉴스 대행사”라는 설명이 눈에 들어온다. 스토리풀 누리집 갈무리
|
일부 언론사 SNS 그대로 보도
언론중재위 접수된 중재 신청
80% 인터넷신문·포털에 몰려
누리꾼 낚기 검색어 장사 때문
국제적 SNS 통신사 ‘스토리풀’
NYT 등 기사화 전 사실 검증
언론재벌 머독이 거액에 인수
#사례 1. 대선을 앞둔 2012년 11월, 한 중년 탤런트가 자신의 트위터에 문재인 후보 등을 비난하는 글을 올렸다. 언론들은 앞다퉈 이를 보도했다. 하지만 그 탤런트가 “트위터를 할 줄도 모른다”고 해명하면서, 해당 글은 누군가 사칭 계정을 통해 올린 것으로 밝혀졌다.
#사례 2. 지난해 5월 “수원역에서 살인 사건이 벌어졌다”는 글이 한 남성이 쓰러져 있는 사진과 함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급속히 퍼져나갔다. 누리세상이 발칵 뒤집어졌다. 포털의 인기검색어에 ‘수원역’이 올라왔고, 관련 기사들이 쏟아졌다. 그러나 경기경찰청은 단순폭행 사건이었을 뿐이라고 밝혀 없던 일이 됐다.
사회관계망서비스가 새로운 오보의 양산지로 지목받고 있다. 누구나 참여하는 곳이니 사실이 아닌 정보가 떠다닐 가능성이 높은 게 사실이다. 그러나, 정작 문제는 일부 언론사들이 사실 확인도 하지 않은 채 이를 기사화해 2차, 3차의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는 점이다.
17일 언론중재위원회에 접수된 조정 및 중재 신청 현황을 보면, 인터넷 신문과 인터넷 뉴스서비스(포털 등)가 월등하게 많다. 최근 5년 동안 조정 건수의 55.3%, 중재 건수의 79.0%가 인터넷 신문·뉴스서비스 쪽에 몰려있다. (표 참조) 이는 언론보도로 인한 피해에 대해 구제 신청으로, 그만큼 오보 등이 많았다는 얘기다. 반면, 에스엔에스 심의를 담당하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에스엔에스 글 등으로 피해를 입었다고 신고된 건수는 지난해 17건, 올해 6월까지 6건에 불과하다. 에스엔에스 자체보다는 이를 가공해 보도한 언론사 쪽이 더 큰 문제인 셈이다.
|
매체 유형별 조정·중재 신청 현황 (2009~2013년)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