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성준 방송통신위원장이 지난달 27일 과천 정부청사에서 올해 방통위 업무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최 위원장은 발표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편’과 관련해 사실상 추진 의사가 없다고 밝혔다. 사진 방통위 제공,
|
‘대통령 공약’ 업무계획서 빠져
방통위 “국회 소관” 나몰라라
11월 한국방송 사장 선출 때도
‘청와대 낙점’ 구도 바뀌지 않아
박근혜 대통령이 집권 3년차를 맞이한 가운데, 방송통신위원회가 박 대통령의 미디어 부문 대표 공약인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에 대해 사실상 추진하지 않겠다는 뜻을 표시해 논란이 일고 있다.
최성준 방통위원장은 지난달 27일 과천 정부청사에서 ‘2015년 업무계획’을 발표했으나, 에이(A)4 용지 27쪽 분량의 계획서 가운데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에 관한 내용이 단 한줄도 들어있지 않았다. 앞서 15일 이뤄진 박 대통령에 대한 방통위 업무보고에서도 이 내용이 빠져있었다.
최 위원장도 업무계획 발표 과정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올해 업무계획엔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 추진을) 넣지 않았다”고 인정했다. 최 위원장은 “국회에서 (여야가) 타협해 지난해 방송법이 개정됐다. 일단 (개정 방송법을) 시행해 보고 문제점들을 점진적으로 개선하기로 했다”면서 지배구조 문제 누락에 대한 직접적 설명을 피했다.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에 있어 시험대가 될 <한국방송>(KBS) 새 사장 선출(올해 11월 예정)에 대해, 최 위원장은 “(사장 후보에 대한) 인사청문회 제도도 있다. 시행해 보면서 추후에 살펴볼 부분을 찾아보겠다”고 했다. 사실상 올해는 지배구조개선 정책을 추진할 의지와 계획이 없음을 밝힌 셈이다. 현재 사장 최종후보 추천권이 있는 한국방송 이사회는 여당과 야당 쪽 추천 이사가 7대 4 구도다. 과반 의결 구조여서 여당 이사 6명만 뜻을 모으면 사장을 선임할 수 있다. 사실상 청와대가 사장을 낙점한다는 해석이 나오는 배경이다. 이런 이유로 언론단체들은 여야 동수로 이사회 구조를 바꾸거나, 사장 선출 때만이라도 이사들의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야 의결되는 ‘특별다수제’를 도입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편’은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다. 정책공약집 갈무리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