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5.12.20 19:40 수정 : 2015.12.21 09:36

거꾸로 가는 민주주의 해직 언론인 좌담

이명박 정부 이후 공정 보도와 언론 자유 등을 요구하다 해직된 언론인은 모두 20명이다. 이 가운데 14명이 아직도 일터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이명박 정권 치하 1호 해직 언론인’은 노종면 와이티엔 전 노조위원장이다. 그와 함께 5명(권석재·우장균·조승호·정유신·현덕수)은 엠비 대선후보 시절 언론특보였던 구본홍씨가 2008년에 와이티엔 사장으로 내려오자 출근을 저지하며 항의하다 그해 10월 무더기 해고됐다. 이 가운데 3명(권석재·우장균·정유신)은 지난해 대법의 해고 무효소송에서 승소해 복직됐다. 노종면씨를 포함한 3명은 ‘해고는 정당’하다는 판결로 7년 넘게 해직자 신분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김재철 사장 체제의 문화방송(MBC)에서도 10명(강지웅·박성호·박성제·이근행·이상호·이용마·이채훈·정대균·정영하·최승호)이 2010~2012년 해고됐다. 박근혜 정부 들어서도 생존권을 박탈하는 해고행진은 멈추지 않았다. 예능 4년차 권성민 피디가 자사를 비판하는 웹툰을 에스엔에스에 올렸다가 올 1월에 해고됐다. 이들 가운데 2명(이근행·정대균)은 복직이 아닌 사쪽의 경력자 특별채용 형식의 편법적 인사발령을 받아들였고, 1명(이상호)은 대법원 해고무효 소송에서 승소해 복직됐다. 대부분은 1, 2심까지 승소한 상태이다.

국민일보에서는 ‘조용기 목사 일가’ 등 경영진 퇴진을 요구하다 기자 2명(조상운·황일송)이 해고됐으며, 이정호 부산일보 편집국장은 박근혜 대통령이 이사장을 지낸 정수장학회의 부산일보 지배 문제를 제기하다 해직됐다.

문현숙 기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