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8.31 18:45 수정 : 2006.09.01 00:13

시골·저소득층은 에너지 빈곤 겪는 현실 문제
에너지 나눔이 환경보전·복지의 길 틀 것
재생에너지 100만kw까지 늘리는게 1차 목표

새 환경단체 ‘에너지나눔과평화’ 김정욱 이사장

31일 오후 서울 정동 프란치스꼬 교육회관에서는 ‘에너지나눔과평화’라는 이름의 새로운 환경단체가 첫 출발을 알렸다.

학계·기업·시민단체 등 각계 발기인 200여명이 참여한 출범식에서 이 단체 이사장으로 내정된 김정욱(60)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잘못 가고 있는 정부의 에너지정책 방향을 이제는 환경보전과 복지·평화의 길을 여는 쪽으로 바꿔야 한다”고 했다.

김 교수는 정부 에너지정책이 잘못 가고 있는 사례로 “입으로는 재생에너지를 이야기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여전히 원자력 발전과 석유·석탄과 같은 화석에너지에 의존하는 것”을 먼저 꼽았다. 바로 이런 인식이 ‘에너지나눔과평화’의 씨앗이 됐다.

김 교수 등은 출범선언문에서 갈수록 에너지 과소비에 물들고 있는 우리 사회를 향해 “돈이 없어 전기가 끊기는 바람에 촛불을 켜다 불타 죽은 사람들, 방사성폐기물 처리장 건설문제로 갈기갈기 찢겨진 지역 공동체 등이 모두 에너지가 만들어내고 있는 또 하나의 어두운 그림자”라고 선언하고, △친환경 에너지시스템 구축 △에너지의 사회적 형평성 실현 △에너지를 통한 평화 구축 등을 목표로 노력할 것을 다짐했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 에너지정책의 주요 문제점으로 재생에너지에 대한 실질적인 투자 미흡, 집중형 에너지체제의 고착화, 에너지소비의 양극화 가속 등을 들었다.

그는 “도시에서는 도시가스 공급과 폐열 이용 집단난방 등으로 에너지 비용이 싸지만, 시골이나 저소득층 지역에는 이런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아 오히려 에너지 가격을 더 많이 지불하고 있다”며 “에너지정책이 빈자를 위한 정책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가 지적한 점들은 기존 환경단체에서도 문제의식을 느끼고 개선을 요구해 온 게 사실. 그런데 굳이 또 하나의 환경단체가 필요한 이유는 뭘까?


“기존 환경단체들은 활동 폭이 여러 분야에 걸쳐 있다보니 에너지 부분에 집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나눔발전소’를 짓는 등 에너지 부분 활동을 집중적으로 펼칠 환경단체가 필요한 것이지요.”

‘나눔발전소’는 일반인들에게서 기부금이나 출자금을 받아 지은 뒤, 전기 판매수익금은 에너지 빈곤층을 돕는데 쓸 계획이다.

김 교수는 “나눔발전소 건설 등을 통해 재생에너지 보급을 원자력발전소 1기 용량인 100만kw 규모까지 늘리는 게 ‘에너지나눔과평화’의 첫번째 목표가 될 것”이라고 했다. 글 김정수 기자 jsk21@hani.co.kr 사진 에너지나눔과평화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