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국대가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예비인가 잠정 결정안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진 30일 오후 서울 광진구 교정의 법과대학 건물(왼쪽)과 새로 지은 법학전문도서관 주변에서 이삿짐을 나르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
선정기준 뜯어보니
교육시설 등 변별력 없어…선정기준 편협 지적 일어
대학 서열화 더 굳어질듯…로스쿨 취지 퇴색 우려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설치 예비인가를 받을 대학이 잠정 결정됐다. 하지만 사법시험 합격자 수 등이 대학 선정에 결정적으로 작용하면서 심사 기준 적용이 왜곡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심사 공정성을 의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30일 알려진 로스쿨 예비인가 대학 선정 및 입학정원 배정 결과를 보면, 법학전문대학원 설치에 관한 법률(로스쿨법) 시행령에 명시한 ‘지역 간 균형’보다 최근 5년 동안 사법시험 합격자 수 같은 법조인 배출 실적이 대학 선정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지역 간 균형은 보조 변수에 그친 것으로 보인다. 인가 신청을 낸 대학 대부분이 로스쿨 법안이 발의된 2년여 전부터 준비해 오면서, 도서관과 모의법정 등 교육시설, 변호사 등 교원, 교육과정 편성 등 주요 심사기준에서는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서울 권역에서 예비인가를 받는 대학 12곳은 최근 5년 사법시험 합격자 수에서 서울 지역 1~12위인 대학들이고, 13위 이하인 동국대 등은 떨어졌다. 김희균 성신여대 법학과장은 “다른 영역 평가에서는 점수 차를 내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사시 합격률이 결정적으로 작용한 것 같다”고 말했다. 지방 권역에서도 120명 정원이 배정된 부산·경북·전남대는 사시 합격자 수에서 10위권 안팎을 달리고 있다.
광주 권역의 경우 인구나 경제력 등이 작은 전북에서 원광대가 전북대와 함께 선정되며 광주·전남의 조선대를 밀어낸 것도, 최근 원광대의 사법시험 합격자 수 말고는 달리 설명하기 어렵다.
|
동국대가 로스쿨 전용 건물로 지어놓은 서울 장충동 교정 만해관 안의 모의법정 내부 모습. 동국대는 30일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예비인가 잠정 결정안에서 제외됐다.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
|
4
|
이수범 최현준 기자 kjlsb@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