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당한 풍채에서 나오는 묵직한 바리톤 베이스의 저음, 백발의 곱슬머리, 넉넉한 웃음으로 대중에게 도 큰 사랑을 받은 그는 특히 변훈의 '명태'를 비롯해 해학적 정서를 지닌 한국 가곡 분야에서 독보적 경지를 이룩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가 구수한 목소리로 열정을 담아 들려주던 '명태'는 대중의 뇌리에 깊이 각인돼 있다. 고인은 최근까지도 노래에 대한 열정을 잃지 않고 왕성하게 활동해왔다. 침체일로에 놓여있는 우리 예술가곡을 살리기 위해 성악가, 작곡가, 시인 등이 모여 2006년 결성한 가곡문화예술협회 명예회장을 맡아 가곡 부흥에 팔을 걷어붙이는가 하면 지난해 3월에는 오페라 한국 도입 60주년을 기념해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라 트라비아타' 콘서트 무대에 서기도 했다. 또한 가곡에 얽힌 뒷이야기를 후세에 남기기 위해 암투병으로 고통을 받던 최근까지도 세일문화재단의 진행으로 구술 작업을 진행해왔다. 유족으로는 아들 영인(오페라 연출가), 영석(사업), 영진(성악가), 딸 순방(주부)씨 등 3남 1녀가 있다. 빈소는 행당동 한양대병원이며, 발인은 27일 오전 8시, 장지는 경기도 강촌의 경춘공원. ☎02-2290-9442. 현윤경 기자 ykhyun14@yna.co.kr (서울=연합뉴스)
|
‘가곡 전도사’ 오현명 한양대 명예교수 별세 |
한국 성악계의 '거목'으로 꼽히는 원로 성악가 오현명 한양대 음대 명예교수가 24일 저녁 지병으로 별세했다. 향년 85세.
중국 만주에서 출생한 고인은 1948년 서울대 음대 성악과 졸업 후 서울예고 교감, 한양대 음대 학장 등을 역임하며 평생을 가곡 발전과 성악 교육에 힘써온 한국 성악계의 산증인이다.
1948년 한국 최초의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에 출연한 이래 60여편의 오페라에 출연하고, 50여편의 오페라를 직접 연출한 그는 1964년부터 1982년까지 국립오페라단장을 맡는 등 오페라 발전에도 헌신했다.
특히 한국 가곡에 대한 남다른 애착으로 1960년대부터 한국 가곡만으로 독창회를 여는 등 '가곡 전도사'로서 역할을 든든히 해왔다.
생전 인터뷰에서 "외국 노래를 부르지 않으면 성악가 스스로 격이 떨어진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고 일침을 놓으며 "우리 나라 사람이 우리 노래를 안 부르면 누가 대신 부르겠냐"고 말했던 오현명은 2003년 '문학의집.서울'로부터 주옥같은 우리 시를 노래해 온 공로를 인정받아 '노래의 시인'이라는 칭호를 선물받기도 했다.
당당한 풍채에서 나오는 묵직한 바리톤 베이스의 저음, 백발의 곱슬머리, 넉넉한 웃음으로 대중에게 도 큰 사랑을 받은 그는 특히 변훈의 '명태'를 비롯해 해학적 정서를 지닌 한국 가곡 분야에서 독보적 경지를 이룩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가 구수한 목소리로 열정을 담아 들려주던 '명태'는 대중의 뇌리에 깊이 각인돼 있다. 고인은 최근까지도 노래에 대한 열정을 잃지 않고 왕성하게 활동해왔다. 침체일로에 놓여있는 우리 예술가곡을 살리기 위해 성악가, 작곡가, 시인 등이 모여 2006년 결성한 가곡문화예술협회 명예회장을 맡아 가곡 부흥에 팔을 걷어붙이는가 하면 지난해 3월에는 오페라 한국 도입 60주년을 기념해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라 트라비아타' 콘서트 무대에 서기도 했다. 또한 가곡에 얽힌 뒷이야기를 후세에 남기기 위해 암투병으로 고통을 받던 최근까지도 세일문화재단의 진행으로 구술 작업을 진행해왔다. 유족으로는 아들 영인(오페라 연출가), 영석(사업), 영진(성악가), 딸 순방(주부)씨 등 3남 1녀가 있다. 빈소는 행당동 한양대병원이며, 발인은 27일 오전 8시, 장지는 경기도 강촌의 경춘공원. ☎02-2290-9442. 현윤경 기자 ykhyun14@yna.co.kr (서울=연합뉴스)
당당한 풍채에서 나오는 묵직한 바리톤 베이스의 저음, 백발의 곱슬머리, 넉넉한 웃음으로 대중에게 도 큰 사랑을 받은 그는 특히 변훈의 '명태'를 비롯해 해학적 정서를 지닌 한국 가곡 분야에서 독보적 경지를 이룩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가 구수한 목소리로 열정을 담아 들려주던 '명태'는 대중의 뇌리에 깊이 각인돼 있다. 고인은 최근까지도 노래에 대한 열정을 잃지 않고 왕성하게 활동해왔다. 침체일로에 놓여있는 우리 예술가곡을 살리기 위해 성악가, 작곡가, 시인 등이 모여 2006년 결성한 가곡문화예술협회 명예회장을 맡아 가곡 부흥에 팔을 걷어붙이는가 하면 지난해 3월에는 오페라 한국 도입 60주년을 기념해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라 트라비아타' 콘서트 무대에 서기도 했다. 또한 가곡에 얽힌 뒷이야기를 후세에 남기기 위해 암투병으로 고통을 받던 최근까지도 세일문화재단의 진행으로 구술 작업을 진행해왔다. 유족으로는 아들 영인(오페라 연출가), 영석(사업), 영진(성악가), 딸 순방(주부)씨 등 3남 1녀가 있다. 빈소는 행당동 한양대병원이며, 발인은 27일 오전 8시, 장지는 경기도 강촌의 경춘공원. ☎02-2290-9442. 현윤경 기자 ykhyun14@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