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센터에서는 고인의 마지막 가는 길을 추모하기 위해 1500여명의 유가족, 친인척, 임직원 및 지인들이 모여 포스코센터 1층과 2층을 지켰다. 이후 참석한 이들이 묵념을 올렸고, 직원대표로 김보영 인재혁신실 팀리더가 3여분 정도 조사 낭독을 했다. 이들은 모두 침울한 표정을 짓고 일부는 눈시울을 붉히며 고 고인의 노제를 지켜봤다. 조사가 끝나고 위패는 운구차로 옮겨졌고 500여명의 직원들이 포스코센터 정문에서 운구행렬을 배웅했다. 고인의 영결식은 오전 9시30분께 서울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사회장으로 거행됐다. 영결식에는 박희태 국회의장을 포함한 정재계 인사 등 조문객 600여명이 참석했다. 의장대의 정중한 호위를 받으며 박 회장의 영정사진과 태극기로 덮인 영구가 고인이 생전에 받았던 청조근정훈장 등을 앞세우고 장례식장에 들어서자 추모객들은 눈물을 터트리기 시작했다. 영정사진을 뒤따라오던 유가족들 역시 침통한 표정으로 눈시울을 붉혔다. 영정사진과 영구가 현충원내 현충관에 안치되고 조문객들이 착석한 후 영결식이 시작됐다. 황경로 장례위원장이 박 명예회장의 약력을 읊고 정준양 포스코 회장, 조정래 작가, 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이 조사를 낭독했다. 정 회장은 조사에서 “원대한 소망을 이뤘지만 어찌 당신이 우리를 떠날 수 있겠나. 존경하고 사랑하는 당신은 우리 시대의 영웅이며 결코 고인이라고 부르고 싶지 않다”며 애통해했다. 위인전 평전에 박 회장의 인생을 그려넣은 인연이 있는 조정래 작가는 “포스코는 이 나라의 주춧돌이고 당신은 이 나라 경제의 아버지”라며 “임은 떠나셨지만 우리는 임을 보내지 않았다. 떠난건 당신의 육신일 뿐, 우리 마음 속에서 언제까지 살아남을 것”이라며 흐느꼈다. 홍석우 지경부 장관은 “싸고 좋은 품질의 철을 충분히 만들어 나라를 부강하게 만드는 것이 제철보국이라고 한 당신의 말이 우리의 마음속에 메아리친다”며 “박 전 회장님은 가셨지만 국민과 국가를 위한 헌신은 영원히 기려지고 기억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장례위원장 박준규 전 총리의 추도사와 가수 장사익의 조가가 이어졌다. 박 회장의 생전 육성과 영상이 나오자 장례식장은 조문객들의 울음소리로 가득찼다. 참석자들은 추모 영상을 지켜본 뒤 영정 앞에 헌화하고 묵념하는 것으로 작별 인사를 고했다. 이후 영정과 영구는 국립서울현충원 국가사회유공자묘역 17구역으로 옮겨졌고 유족들과 장례위원장이 허토를 하는 것으로 장례행사를 끝마쳤다. forgetmenot@newsis.com<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철강 아버지’ 고 박태준 명예회장 현충원에 안장 |
【서울=뉴시스】고(故)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의 안장식이 17일 오전 11시30분께 서울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사회장으로 거행됐다.
앞서 이날 박 회장의 발인 예배는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 1층 영결식장에서 엄수됐다.
박 명예회장의 마지막 가는 길을 추모하기 위해 200여명의 사람들이 모여들어 영결식장은 발 딛을 틈이 없었다.
개신교식 발인 예배로 엄수된 발인식은 유가족 자체 행사로 열렸다.
의장대의 정중한 호위를 받으며 박 회장의 영정사진이 들어오자 영결식장에 모인 추모객들은 눈물을 터트리기 시작했다.
영정사진을 뒤따라오던 유가족들 역시 침통한 표정으로 눈시울을 붉혔다.
발인 예배는 오전 7시45분께 마무리 됐으며 발인을 마친 고인은 운구차에 실려 서울 강남구 삼성동 포스코센터로 향했다.
오전 8시20분께 포스코센터에 도착한 운구 차량은 포스코센터를 한 바퀴 순회한 후 직원 300여명은 운구차 도착장소에서 위패가 지나갈 때 침통한 표정으로 목례를 했다.
포스코센터에서는 고인의 마지막 가는 길을 추모하기 위해 1500여명의 유가족, 친인척, 임직원 및 지인들이 모여 포스코센터 1층과 2층을 지켰다. 이후 참석한 이들이 묵념을 올렸고, 직원대표로 김보영 인재혁신실 팀리더가 3여분 정도 조사 낭독을 했다. 이들은 모두 침울한 표정을 짓고 일부는 눈시울을 붉히며 고 고인의 노제를 지켜봤다. 조사가 끝나고 위패는 운구차로 옮겨졌고 500여명의 직원들이 포스코센터 정문에서 운구행렬을 배웅했다. 고인의 영결식은 오전 9시30분께 서울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사회장으로 거행됐다. 영결식에는 박희태 국회의장을 포함한 정재계 인사 등 조문객 600여명이 참석했다. 의장대의 정중한 호위를 받으며 박 회장의 영정사진과 태극기로 덮인 영구가 고인이 생전에 받았던 청조근정훈장 등을 앞세우고 장례식장에 들어서자 추모객들은 눈물을 터트리기 시작했다. 영정사진을 뒤따라오던 유가족들 역시 침통한 표정으로 눈시울을 붉혔다. 영정사진과 영구가 현충원내 현충관에 안치되고 조문객들이 착석한 후 영결식이 시작됐다. 황경로 장례위원장이 박 명예회장의 약력을 읊고 정준양 포스코 회장, 조정래 작가, 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이 조사를 낭독했다. 정 회장은 조사에서 “원대한 소망을 이뤘지만 어찌 당신이 우리를 떠날 수 있겠나. 존경하고 사랑하는 당신은 우리 시대의 영웅이며 결코 고인이라고 부르고 싶지 않다”며 애통해했다. 위인전 평전에 박 회장의 인생을 그려넣은 인연이 있는 조정래 작가는 “포스코는 이 나라의 주춧돌이고 당신은 이 나라 경제의 아버지”라며 “임은 떠나셨지만 우리는 임을 보내지 않았다. 떠난건 당신의 육신일 뿐, 우리 마음 속에서 언제까지 살아남을 것”이라며 흐느꼈다. 홍석우 지경부 장관은 “싸고 좋은 품질의 철을 충분히 만들어 나라를 부강하게 만드는 것이 제철보국이라고 한 당신의 말이 우리의 마음속에 메아리친다”며 “박 전 회장님은 가셨지만 국민과 국가를 위한 헌신은 영원히 기려지고 기억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장례위원장 박준규 전 총리의 추도사와 가수 장사익의 조가가 이어졌다. 박 회장의 생전 육성과 영상이 나오자 장례식장은 조문객들의 울음소리로 가득찼다. 참석자들은 추모 영상을 지켜본 뒤 영정 앞에 헌화하고 묵념하는 것으로 작별 인사를 고했다. 이후 영정과 영구는 국립서울현충원 국가사회유공자묘역 17구역으로 옮겨졌고 유족들과 장례위원장이 허토를 하는 것으로 장례행사를 끝마쳤다. forgetmenot@newsis.com<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포스코센터에서는 고인의 마지막 가는 길을 추모하기 위해 1500여명의 유가족, 친인척, 임직원 및 지인들이 모여 포스코센터 1층과 2층을 지켰다. 이후 참석한 이들이 묵념을 올렸고, 직원대표로 김보영 인재혁신실 팀리더가 3여분 정도 조사 낭독을 했다. 이들은 모두 침울한 표정을 짓고 일부는 눈시울을 붉히며 고 고인의 노제를 지켜봤다. 조사가 끝나고 위패는 운구차로 옮겨졌고 500여명의 직원들이 포스코센터 정문에서 운구행렬을 배웅했다. 고인의 영결식은 오전 9시30분께 서울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사회장으로 거행됐다. 영결식에는 박희태 국회의장을 포함한 정재계 인사 등 조문객 600여명이 참석했다. 의장대의 정중한 호위를 받으며 박 회장의 영정사진과 태극기로 덮인 영구가 고인이 생전에 받았던 청조근정훈장 등을 앞세우고 장례식장에 들어서자 추모객들은 눈물을 터트리기 시작했다. 영정사진을 뒤따라오던 유가족들 역시 침통한 표정으로 눈시울을 붉혔다. 영정사진과 영구가 현충원내 현충관에 안치되고 조문객들이 착석한 후 영결식이 시작됐다. 황경로 장례위원장이 박 명예회장의 약력을 읊고 정준양 포스코 회장, 조정래 작가, 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이 조사를 낭독했다. 정 회장은 조사에서 “원대한 소망을 이뤘지만 어찌 당신이 우리를 떠날 수 있겠나. 존경하고 사랑하는 당신은 우리 시대의 영웅이며 결코 고인이라고 부르고 싶지 않다”며 애통해했다. 위인전 평전에 박 회장의 인생을 그려넣은 인연이 있는 조정래 작가는 “포스코는 이 나라의 주춧돌이고 당신은 이 나라 경제의 아버지”라며 “임은 떠나셨지만 우리는 임을 보내지 않았다. 떠난건 당신의 육신일 뿐, 우리 마음 속에서 언제까지 살아남을 것”이라며 흐느꼈다. 홍석우 지경부 장관은 “싸고 좋은 품질의 철을 충분히 만들어 나라를 부강하게 만드는 것이 제철보국이라고 한 당신의 말이 우리의 마음속에 메아리친다”며 “박 전 회장님은 가셨지만 국민과 국가를 위한 헌신은 영원히 기려지고 기억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장례위원장 박준규 전 총리의 추도사와 가수 장사익의 조가가 이어졌다. 박 회장의 생전 육성과 영상이 나오자 장례식장은 조문객들의 울음소리로 가득찼다. 참석자들은 추모 영상을 지켜본 뒤 영정 앞에 헌화하고 묵념하는 것으로 작별 인사를 고했다. 이후 영정과 영구는 국립서울현충원 국가사회유공자묘역 17구역으로 옮겨졌고 유족들과 장례위원장이 허토를 하는 것으로 장례행사를 끝마쳤다. forgetmenot@newsis.com<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