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든 기독교든 이렇듯 겉으로 보기엔 마냥 긍정적이고 희망찬 내용의 교리로 충만 되어 있다. 인간이 곧 하느님이요 부처님이란 얘기는, 인간이 운명의 지배를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얼마든지 운명을 창조해나갈 수 있는 존재라는 얘기가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세상은 아직껏 전쟁과 기아와 질병과 인권 유린 등 온갖 괴로움으로 가득 차 있으며, 중생들은 운명(또는 섭리)의 힘 앞에 오직 두려워 떨며 하루하루를 겨우 연명해나가는 생활을 계속하고 있다. 그렇다면 그 이유는, 석가나 예수가 말한 것이 진리라고 가정할 때, 여태껏 지배엘리트들이 그들의 진리를 곡해하거나 악용해왔기 때문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여기서 내가 ‘악용’이라는 말을 쓴 까닭은, 불교든 기독교든 결국에 가서는 그것이 갖고 있는 원시적 순수성을 상실해 버리고, 기득권을 가진 지배계급의 통치수단으로 전락해버리고 마는 역사가 지금껏 되풀이되어왔기 때문이다. 예수가 말한 ‘하늘나라’나 석가가 말한 ‘극락정토’는 둘 다 인간의 노력에 의해 지상에서 이룩되는 이상적인 복지사회를 상징한 것이었다. 그런데 이상적인 복지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어떤 형태로든 혁명이 필요한 법이고, 혁명은 기성 지배질서의 붕괴를 뜻할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불교든 기독교든 기득권화된 종교체제의 틀 속으로 편입된 이후에는 혁명을 두려워하는 기득권 세력에 유리하도록 교리가 조작되고, 민생은 오히려 더욱 비참한 지경으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기독교의 경우에는 서양의 중세시대나 18세기 앙샹 레짐(구제도)하의 프랑스 등이 좋은 보기이고, 불교의 경우엔 다른 나라를 차치하고 우리나라 삼국시대나 고려시대가 좋은 보기이다. 역사를 꼼꼼히 들여다보면, 예컨대 통일신라 말기에 구제도에 반기를 들고 일어선 궁예(弓裔)는 현세에 미륵정토를 건설하기위해 신분차별을 없애고 경자유전(耕者有田)의 원칙을 세우려고 상당히 노력했던 사람이라는 느낌을 강하게 받게 된다. 그렇지만 그는 결국 당시 기득권 세력이었던 토호(土豪)들의 수장(首長)이 된 왕건(王建)에 의해 쫓겨날 수밖에 없었고, 결국에 가서는 ‘해괴한 짓거리만 하다가 스스로 망해버린 과대망상광’으로 역사에 기록될 수밖에 없었다. 왕건을 중심으로 한 토호들이 궁예를 떠받들었던 것은, 토지 소유를 더 증대해나가 기득권을 더욱 공고히 하려는 의도에서였지 민중을 위해 땅을 나눠주고 싶어서는 아니었다. 그런데 궁예가 민중 쪽에 섰기 때문에 그들은 궁예를 몰아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고려 말의 승려인 신돈(辛旽) 역시 그래서, 그의 개혁정책은 기득권 세력에 의해 물거품이 되어버렸고 그 또한 궁예처럼 ‘여색(女色)에 미쳐 날뛴 파계승’으로 역사에 기록되고 말았다. 역사는 언제나 승리자의 입장에서 기술되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불교는 실천적 이념으로서가 아니라 권력에 기생하는 어용적(御用的) 호국불교나 사변적 형이상학으로 변질돼버렸고, 속세를 도피하여 은둔하는 자들의 정신적 피난처 구실밖에 못하게 되었다. (*이 기사는 네티즌, 전문가, 기자가 참여한 <블로그> 기사로 한겨레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한겨레 블로그 내가 만드는 미디어 세상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