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2.20 19:21 수정 : 2009.02.21 13:50

운구 차량 행렬이 명동성당 들머리를 지나는 동안 한 신자가 김수환 추기경의 생전 모습이 담긴 사진을 든 채 묵주를 돌리며 고인을 추모하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1만여명 명동성당 가득…끝내 울음바다
“나는 부활이요 생명…” 찬송가속 영면
하늘도 구름 틔워…무덤가 환한 빛 장관

김수환 추기경을 떠나보낸 날, 온 나라는 하얗게 울었다.

고인의 마지막 길을 함께하려는 1만여 인파는 새벽부터 서울 명동성당을 가득 메웠다. 영하의 기온과 매캐한 황사도 애끓는 추모 물결을 꺾지 못했다.

장례미사 20일 오전 서울 명동성당 대성전에서 1시간45분 동안 엄숙하게 진행됐다. 전국에서 올라온 사제와 신자, 내·외빈 900여명이 좌석을 빼곡히 메웠다. 김 추기경의 관이 놓인 제대 바로 앞에는 휠체어에 의지한 장애인들이 자리를 잡았다. 고인의 생전 뜻에 따라 장례위원회가 특별 초청한 이들이다. 눈을 감고 합장한 채 기도문을 외우거나, 멍한 시선을 관에 고정한 채 입을 굳게 다물고 있었다. 성전은 고요했다.

교황의 특사 자격으로 미사를 집전한 정진석 추기경과 주교단 20여명이 가톨릭 합창단의 성가가 울려 퍼지는 가운데 제대 앞에 섰다. “우리 곁을 떠난 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님을 위해 전능하시고 자비로우신 하느님께 정성을 다해 기도합시다.” 정 추기경이 미사의 시작을 알렸다. 미사는 성경 복음 등을 읽는 ‘말씀 전례’, 예수님의 몸을 상징하는 빵을 나누는 ‘성찬 전례’에 이어 정 추기경의 강론으로 이어졌다. “추기경님은 사랑과 나눔을 그 어떤 것보다도 중요한 유산으로 남겨 주셨기에 한 가닥 희망을 ….” 강론이 진행되는 동안 흰 면사포를 쓴 신자들의 어깨가 곳곳에서 들썩였다.

[김수환 추기경 떠나는 날]

김 추기경이 마지막으로 남긴 말 “고맙습니다. 서로 사랑하세요”라는 글귀를 담은 펼침막 아래로 추모객들이 명동성당을 빠져나가고 있다. 김봉규 기자 bong9@hani.co.kr

작별 예식이 끝난 뒤 고별사가 이어지면서 흐느낌은 더 커졌다. “지난 반세기 동안 추기경께서 저희 곁에 있어서 참 행복 …” 평신도사도직협의회 한홍순 회장은 고별사 도중 입술을 깨물며 말을 잇지 못했다. 몇몇 유가족은 슬픔을 이기지 못하고 소리 내어 흐느꼈다. 고별사가 끝나고 정 추기경이 관 주위를 돌며 분향을 하고 성수를 뿌리기 시작하자, 성당은 일제히 눈물바다가 됐다. 성당 앞마당은 이날 새벽부터 몰려든 인파로 발디딜 틈이 없었다. 전국에서 올라온 신자들은 찬 바닥에 앉아 대형 모니터를 통해 중계되는 장례미사를 함께 했다. 뚝 떨어진 기온에 황사 바람까지 거셌지만, 이날 명동성당 안팎에는 줄잡아 1만여명이 운집해 고인의 마지막 길을 애도했다.


운구 차량 행렬이 경찰의 호위를 받으며 경기 용인 천주교 묘지공원을 향해 경부고속도로를 달리고 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운구 오전 11시45분께 추기경이 안치된 삼나무관은 성당 앞마당 운구차로 옮겨졌다. 십자가와 영정을 앞세우고 사제 8명이 관을 들고 대성전 주출입구를 빠져나오자 성당 앞마당에서 기다리던 추모객들은 일제히 울먹였다. 한 50대 여성은 “추기경님, 이렇게 가시면 안 됩니다”라며 널브러져 통곡했다. 전날 밤 부산에서 올라왔다는 60대 노인은 두 눈이 그렁그렁한 채 “안 돼, 안 돼”라고 중얼거렸다. 고인의 관이 한발씩 운구차 쪽으로 나아가자 추모객들은 “사랑합니다. 사랑합니다”라며 눈물을 쏟았다. 운구차가 성당을 빠져나와 삼일로에 접어들자 인도 행렬을 알아본 일부 시민들은 고개를 숙이며 “잘 가세요” “편안히 쉬세요”라고 외쳤다.

40년 정든 명동성당을 떠난 고인의 주검은 정오께 경기 용인의 천주교 묘지공원으로 향했다. 운구 차량 행렬은 한남대교~양재나들목~판교·신갈 나들목을 지나 1시간15분 만에 묘지에 도착했다. 경찰은 대통령 이·취임식 등 국가 행사에 쓰이는 오픈카 2대와 사이드카 13대를 배치해 장례 행렬을 인도했다.

오후 1시15분께 검은색 리무진이 맨 앞에 선 운구 행렬이 성직자 묘역에 모습을 드러냈다. 운구차 옆에 두 겹으로 늘어선 추모객들은 경건히 성호를 긋고 기도를 올렸다. 묘역에는 아침 일찍부터 2000여명의 추모객이 모여들었다. 고인의 주검이 묻힐 무덤구덩이(묘광)로 운구가 진행되는 동안, 추모객들은 낮은 목소리로 기도하며 뒤를 따랐다. 일부 추모객들은 고인의 마지막 길이 아쉬운 듯 관을 쓰다듬기도 했다.

용인 천주교 묘지공원 안 성직자 묘역에서 열린 하관 예절에서 참석자들이 김 추기경의 관 위에 성수를 뿌리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하관 예절이 끝난 뒤 성직자 묘역을 가득 메운 추모객들이 김 추기경의 묘 위에 헌화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하관·안장 하관 예절은 오후 1시30분께부터 진행됐다. 묘지 관리원 6명이 세 줄의 하얀 광목천에 의지해 관을 밑으로 내려놓는 순간, 추모객들이 일제히 위령 기도를 했다. 이어 고인의 유족과 비서 신부·수녀 등이 돌아가며 성수를 뿌리고 삽으로 흙을 떠 관 위에 뿌렸다. 추모객들은 입을 모아 기도문을 반복해 읊조렸다. “천주의 성모 마리아님, 이제와 저희 죽을 때에 저희 죄인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고인의 고단했던 육신은 비로소 한 평 남짓 흙더미 속에 안식했다.

하관식이 진행된 묘역 뒤편에 걸린 펼침막 사진 속 ‘혜화동 할아버지’는 여전히 환하게 웃고 있었다. 거기에는 ‘고맙습니다. 서로 사랑하세요’라는 글귀가 적혀 있었다. 하관 예절에 참석한 이명진(율리안나·38)씨는 “소가 죽어서 자기의 모든 살과 피를 나눠 주듯이 추기경님은 우리에게 마음을 선물로 나눠 주셨다”며 “그 마음은 사랑, 겸손, 절제”라고 고인을 애도했다. 모든 예식이 끝나고 성직자 묘역에는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니라’라는 찬송이 울려 퍼졌다. 희뿌연 하늘이 개면서 묘역에는 옅은 햇살이 비쳤다.

권오성 황춘화 기자 sage5th@hani.co.kr

[한겨레 관련기사]

▶‘명동의 십자가’ 내려놓고 국민가슴에 묻히다
▶성적조작 의혹 전국 확산
▶클린턴, 북한에 ‘대화 시작 준비됐다’ 신호
▶국제결혼 6년새 2.5배 평균 기대수명 79.6살
▶영국서도 비판받는 ‘일제고사’
▶‘워낭소리’ 100만명 관객 돌파 “수익금 30% 독립영화에 기부”
▶여자 팔자 뒤웅박? 그런데 뒤웅박이 뭐예요?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