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주교정의구현 전국사제단 전종훈 대표신부
|
삼성비자금 폭로뒤 무슨일이
대교구 2008년 “삼성 회견 말라고 했는데…”
2010년엔 “본당아닌 선교공동체서 사목해라”
제안 거절한 전종훈 신부 안식년 ‘징계성 인사’
삼성비자금 사건이 폭로된 지 2년 10개월 만에 범죄에 연루돼 유죄가 확정된 삼성의 주요 인사들은 모두 ‘법적 면죄부’를 받았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이 폭로에 앞장섰던 천주교정의구현 전국사제단(사제단)은 전종훈 대표신부가 3년째 안식년을 보내야 하는 등 사실상 활동의 제약이 계속되고 있다.
그동안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2007년 김용철 변호사의 삼성 비자금 폭로를 주선하고 이듬해 촛불집회 시국미사에 나섰던 사제단 대표 전 신부는 그해 8월 이례적으로 안식년 발령을 받았다. 가톨릭 사제는 서품을 받은 뒤 10년이 넘으면 안식년 휴가를 받게 되는데, 전 신부는 이미 2001년 안식년을 지냈기 때문에 2008년 인사는 통상의 관례에서 벗어난 것이었다. 수락산 성당에 주임신부로 간 지 1년 반 만의 일이다.
두번째 안식년 발령에 앞서 전 신부와 면담한 서울대교구 총대리 염수정 주교는 “(추기경이) 삼성 문제 하지 말라고 했는데 왜 했느냐”며 “해외 교포사목으로 가거나, 사제단 대표에서 물러나면 본당에 자리를 주겠다”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전 신부는 이를 거절했다.
2008년 인사에선 전 신부뿐 아니라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으로 평소 사회활동에 적극적이던 함세웅 신부도 보좌신부가 전혀 없는 서울 청구성당 주임신부로 발령이 났다.
통상 안식년은 1년이라 2009년 8월에 인사가 날 것으로 예상됐지만, 전 신부는 2009년 인사에서 제외됐다. 2010년 인사를 앞두고 염수정 총대리주교는 전 신부를 다시 불렀다. 이번엔 본당이 아닌 다른 선교공동체에서 사목활동을 하라고 제안했다. 하지만 전 신부는 “과거의 인사 자체가 불합리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다시 돌아간다면 본래 자리로 가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 다른 방편의 인사는 억측이나 의혹을 불러일으키는 악순환을 반복하게 된다”며 본당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뜻을 밝혔고, 전 신부의 안식년은 결국 3년으로 늘어났다.
|
문정현 신부가 16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성당 본당에서 폐쇄적으로 변해가는 한국 천주교의 반성과 책임을 촉구하는 1인 기도를 하고 있다. 이종찬 선임기자 rhee@hani.co.kr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