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사제성화의 날’ 미사 때 인천교구의 사제들이 유언장을 써 함에 넣고 있다.
|
‘봉사의 삶’ 산 선배들 미사 봉헌
순교지서 기념식 등 행사 다양
1일 가톨릭 `사제성화의 날’
각막을 기증해 마지막까지 빛을 선물로 주고 떠난 김수환 추기경과 아프리카에서 봉사하던 중 병을 얻어 선종한 이태석 신부, 북에 간 임수경씨를 데려오던 문규현 신부, 암울한 시절 독재에 분연히 맞서던 정의구현사제단 신부들…. 이들은 모두 사제들이다.
지난해 말 정진석 추기경의 ‘4대강 개발 찬성조 발언’ 등으로 한국 가톨릭 교단이 ‘갈수록 부자와 권력 편으로 기울며 기득권화하고 있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하지만 여전히 한국 사회에서 가톨릭 사제는 ‘독특한 위상’을 굳히고 있다.
대부분의 여론조사에서 가톨릭교회가 가장 존경받는 종교기관으로 평가받는 것에서도 이를 알 수 있다. 개신교 주요 단체인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가 최근 전국수련회에서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가장 신뢰하는 종교기관’은 가톨릭교회가 41.14%로, 불교 사찰 33.5%, 개신교회 20%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다른 종교 성직자들이 비리에 연루돼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는 일이 비일비재한 것과 비교해 사제들은 더 청렴하고 양심적이라는 이미지에 따른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종교계의 분석이다. 서구 국가들의 경우 사제 수 감소로 가톨릭교회들이 고충을 겪고 있는 것과 달리 여전히 사제 지원자가 줄지 않고 있는 것도 한국 가톨릭의 독특한 점 가운데 하나다. 최근 발간된 ‘2010 한국천주교회 통계’를 보면 ‘한국 가톨릭 사제 수’는 2010년 말 현재 1년 전보다 118명이 늘어난 4522명(추기경·주교 포함)이다. 국내에서 사제들은 지난 10년 동안 평균 2.9%씩 증가해왔다.
|
지난해 ‘사제성화의 날’에 인천교구 사제들이 유언장 봉헌 예식을 하고 있다.
|
사제가 되려면 신학대에 진학하고 이후 군대와 복지시설 봉사기간을 포함해 평균 10년의 수련을 거쳐야 한다. 이렇게 사제가 되어서도 100만원을 조금 넘는 월급을 받으며 70살 정년 때까지 봉사할 것을 요구받는다. 평생 독신으로 살아가면서 세상을 마칠 때도 사유 재산과 장기까지 세상을 위해 내어놓는 게 사제의 직분인 셈이다. 이희연 서울대교구 홍보팀장은 “사제들은 한곳에 있지 않고 인사 발령을 받아 옮겨다니는데다 독신으로 딸린 가족이 없다 보니 소유로부터 좀더 자유롭다. 일반인들로선 쉽지 않을 독신 생활을 감당해내는 데 대해 신자들이 여전히 거룩하다는 느낌과 함께 존경심을 갖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사진 인천교구 제공
금욕·악마와의 투쟁 뜻 담긴 사제복
|
사제가 장백의(왼쪽)를 입고 허리에 띠를 매고 영대를 걸치고 있다. 사제가 검은색 수단(가운데) 위에 띠를 매고 어깨에 개두포를 착용하고 있다.
미사를 거행할 때 주례사제는 장백의 위에 제의(오른쪽)를 입는다.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제공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