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신교회 건물을 그대로 교당으로 사용중인 원불교 필라델피아교당.(오른쪽 사진) 이곳에서 원불교 교무들과 미국인들이 지난 4일 새벽 함께 참선하고 있다.
|
미국의 동양명상수행 현장을 가다 ①
참선 배우려 학교에 강사 초청 등 배타성 없어
원불교, 뉴욕센터 개원…조계종, 교구청 추진
한국학 연구 학생들 지원 등 본격 국외 포교
미국은 영국에서 종교의 자유를 찾아 떠난 청교도 등이 모태가 되어 건국된 나라다. 영국 태생의 선교사가 설립한 하버드대를 비롯한 수많은 학교들이 기독교정신에 따라 교육하고 있다. 대통령이 성서에 손을 얹고 취임선서를 한다. 사실상 ‘준기독교 국가’인 셈이다. 하지만 전세계 이민자들로 이뤄진 이 나라엔 세계 대부분의 종교가 상륙해 활동하고 있다. 종교박물관인 셈이다.
한국에선 3천여개의 한인교회를 비롯해 가톨릭 성당과 불교 사찰, 원불교 교당 등이 포교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대부분 150여만명의 한인 사회를 대상으로 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그런데 원불교가 한국에서 탄생한 주요 종교로선 최초로 전북 익산에 있는 중앙총부(총본부)와는 별도로 미국 심장부 뉴욕주 50여만평에 해외총부인 원다르마센터를 지난 2일 개원했다. 원불교는 최고지도자 경산 종법사가 42일간의 장기 일정으로 미국 순방에 나서 4일 뉴욕 유엔본부에서 반기문 사무총장을 찾아 환담했다. 또 법회를 여는 등 본격 현지 교화에 나섰다.
불교 조계종도 최근 미국에 첫 해외교구청 설립을 추진하기로 했다. 총무원장 자승 스님은 지난 1일 한국 불교문화를 유럽에 알리기 위해 간 프랑스에서 유럽의 기독교 젊은이들의 성소인 테제공동체를 방문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한국 불교가 그동안 종단 화합 등 내부 문제 해결에 급급해 10~20년 앞을 내다보고 (불교 발전을 위한) 로드맵을 세우지 못해 세계인들에게 한국 불교를 제대로 알리지 못했다”며 “앞으로 미국 컬럼비아대의 한국학 연구 학생들에게 매년 10만달러를 지원해 한국을 아는 인재를 양성하고 유엔에 한국 승려를 파견해 한국 불교를 알리고, 현지 문화와 언어를 아는 외국인 스님을 통한 포교 활동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본격적인 해외 포교 시대를 예고한 것이다.
|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의 위성도시인 글렌사이드에 있는 원불교 필라델피아 교당도 개신교인 크리스천사이언스교회를 10년 전 인수해 교당으로 사용하고 있다. 개척 초기 교당을 구입했던 미주선학대학원 김복인 교무는 “원불교와 매매 계약을 논의하던 중 다른 교회가 사겠다고 나섰지만, 크리스천사이언스교회에선 먼저 제안을 한 원불교와의 도의를 더 중시해 원불교에 매각했다”고 말했다. 필라델피아 교당엔 매주 60~70명의 미국인들이 참선하기 위해 온다. 미국인 참선을 지도하는 조정수 교무는 “참선하러 오는 미국인들 대부분이 가톨릭과 개신교, 유대교 배경을 가졌고, 이 가운데 상당수는 화요일과 토요일 참선하기 위해 교당에 오면서 일요일엔 자신의 종교집회에 나가기도 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인근 중고등학교에서 매 학기 학생들을 불교와 참선을 알게 하기 위해 교당에 보내거나 교무들을 강사로 학교에 초청할 만큼 미국인들에게서 타종교나 수행을 하는 데 대한 거부감이나 배타성은 잘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뉴욕·필라델피아 글·사진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