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이 탄 샘터공동체 생활관 자리에 모인 ‘개척자들’.
|
난민 구호 개척자들 삶터 `샘터공동체’ 화재로 잃어
주변인 쌀 등 도움 손길…“고통받는 이들 위해 기도”
서울~경기도 양평군 사이를 오가는 중앙선 국수역에서 차로 10여분 계곡을 따라 올라가면 샘터공동체가 있다. 양평군 양서면 증동리 78. 10여년째 재난과 전쟁으로 고통받는 이들에게 가장 먼저 달려갔던 개척자들의 보금자리다.
지난 16일 샘터공동체를 찾았다. ‘개척자들’이란 작은 푯말 옆 계곡 위 다리 건너엔 산새가 지저귀며 부르는 평화의 노래가 들려올 것만 같다. 그런데 어인 일일까. 샘터공동체는 마치 화산 폭발의 현장처럼 시꺼멓게 그을린 나무들만이 나뒹굴고 있었다. 아랫목에 앉아 있어도 추울 법한 산골 얼음계곡 옆에서 타다 만 나무들을 치우느라 허철 간사가 비지땀을 흘리고 있었다.
샘터공동체엔 지난달 15일 낮 원인 모를 화재가 일어났다. 이 불을 끄기 위해 헬기까지 동원돼 큰 산불로 번지는 것은 막았지만, 13명의 샘터공동체 식구들이 살아가는 생활관은 홀라당 타버렸다. 대낮에 불이 나 다행히 식구들은 밖으로 나와 인명 피해는 없었다. 그러나 2000년부터 동티모르 분쟁 현장에 가서 난민들을 도우며 보내온 생생한 사진들과 사연들이 담긴 4대의 노트북들은 함께 잿더미가 되어버렸다. 2004년 지진해일(쓰나미)이 몰려든 인도네시아 반다아체로 달려가 지금까지 함께 수집해온 활동 자료들도, 아프가니스탄과 말레이시아 등에서 난민들을 도왔던 기억을 담은 사진들도 함께 타버렸다. 재난 지역과 분쟁 지역 오지에 가서 이재민을 도울 청년들을 양성하는 평화 캠프를 열 때마다 8㎞ 달리기와 20㎞ 자전거 타기, 수영으로 남한강 건너기 등 철인경기를 가장 앞장서서 해온 이들의 체력도 재난 앞에선 속수무책이었다.
|
서울 동대문구 신설동 대광고 안 나들목교회 소예배실에서 ‘세상을 위한 기도모임’ 참가자들이 함께 기도하고 있다.
|
자신들의 욕망을 실현하기 위한 기복 기도가 판을 치는 세상에서 ‘세기모’는 이상한 나라의 이야기처럼 보였다. 이날 세기모의 기도 가운데서 무엇보다 아름다운 것은 마지막 감사의 기도였다. “샘터 화재를 통해 분쟁과 재난 현장에서 가족과 삶의 터전을 잃은 이들의 고통과 마음을 더욱 더 잘 헤아리고 공감할 수 있게 해주신 하나님 감사합니다.” 가희를 껴안고 예배당을 나오는 ‘개척자들’ 머리 위에서 밤하늘의 달님도 별님도 함께한다는 듯 미소짓고 있었다. 양평/글·사진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신앙은 전하기보다 삶으로 증거하는 것” 개척자들은… `세상을 위한 기도모임’서 출발
2001년부터 내전지역서 봉사 1992년 필리핀에서 피나투보 화산이 터졌다. 722명의 인명피해 소식을 뉴스로 접한 서울의 한 작은 교회 청년들은 송강호(54) 전도사와 함께 그들을 위해 기도했다. 그 기도로 시작해 이들은 매주 한번씩 모여 고통받는 지구촌 사람들을 정해놓고 그들을 위해 기도했다. ‘개척자들’의 모태인 ‘세상을 위한 기도모임’(세기모)의 첫걸음이었다. 송 전도사는 1994년 독일 하이델베르크로 신학 공부를 하러 떠났다. 청년들과 “재난이나 전쟁이 일어나면 우리 함께 그곳에서 만나자”고 약속한 뒤였다. 송 전도사의 유학 뒤에도 ‘세기모’를 이어가던 청년 3명은 아프리카 부룬디의 내전으로 수많은 난민들이 고통받고 있다는 뉴스를 접하고, 독일로 날아갔다. 막 신학 공부를 시작하려던 송 전도사는 이들과 함께 아프리카로 가서 참상을 목격하며 그들이 무엇을 해야 할지 기도하기 시작했다. 송 전도사가 신학박사 학위를 마치고 돌아온 4년 뒤까지 청년들은 기도를 단 한주도 멈추지 않고 있었다. 청년들은 세기모를 발전시켜 2001년 송 전도사와 함께 ‘개척자들’을 출범시켰다. 큰 교회도, 큰 후원자도 없었다. ‘선교’에만 후원이 몰리는 현실에서 ‘신앙은 전하는 것이 아니라 삶으로 증거하는 것’이라며 종교를 가리지 않고, 무조건적으로 돕고 헌신하는 그들의 시도는 무모하기도 했다. 하지만 오병이어의 기적은 헌신이 있는 곳이면 어디서나 일어났다. 그들은 100여명의 후원자들이 보낸 ‘작은돈’, 국내외 스태프 35명의‘적은 인원’으로 고통받는 현장에서 구호로, 때론 평화교육으로 수천, 수만명에게 평화와 사랑을 심어주고 있다. wcfgw.nayana.kr, (031)771-5072. 조현 기자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