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접 쓴 한시 편액 옆에 선 한인철 목사. 조현 기자, 예수학당 제공
|
‘예수학당’ 이끄는 한인철 목사
신화적 예수 아닌 역사적 예수 탐구
‘믿기만 하면 구원된다’는 전도 비판
기독교 본질은 정죄 아닌
함께 아파하는 사랑이 핵심
7일 서울 신촌 연세대의과대세브란스병원 교목실장실로 들어서니, 제법 문자향이 배인 서예 편액이 먼저 눈에 띈다. 당나라 시인 이백의 시다. 연세대 교목으로서 이 병원에 파견 나와있는 교목실장 한인철(58) 목사가 직접 쓴 글씨다. 미국 드루대에서 공부한 유학파의 서예가 이채롭다.
그는 미국에서 돌아온 뒤 처음 간 전주대에서 교수를 2년 만에 그만둔 뒤 2년간 한학자 문하에 들어가 하루 14시간씩 사서삼경을 독파했다. 서울에서 전셋집을 얻을 돈이 없어 전주에 눌러앉다 보니 동양고전 공부를 하게 됐다는 것이다. 하지만 ‘실직’기간에 좌절하기보다는 자신이 나고 자란 동양인의 정신세계를 통해 예수 정신을 더욱 깊게 통찰할 내공을 쌓을 자산으로 삼았다는 게 남다르게 보인다.
그가 독특한 것은 그것만이 아니다. 그는 ‘역사적 예수’의 탐구자다. 우리나라에선 신화의 예수가 아니라 실제 예수가 어떤 인물이었는지를 탐구하는 게 생소하지만, 미국에선 1982년 ‘예수 세미나’가 시작된 이후 ‘인간 예수’에 대한 연구가 거대한 물줄기를 형성하고 있다.
그는 1995년 감신대 동문인 김준우 교수와 함께 미국 방문길에 서점에 들렀다가 ‘역사적 예수’의 궁금증을 풀어주는 책들이 많은 데 놀랐다. 한 목사는 그때의 느낌을 “금싸라기들이 땅바닥에 깔려있는 것 같았다”고 말했다.
그 책들을 한보따리 사들고 와 탐독한 뒤 번역을 시작했다. 존 도미니크 크로산의 <예수는 누구인가>와 마크스 보거의 <새로 만난 하나님>, 루벤슈타인의 <예수는 언제 하나님이 되었는가> 등이 그의 번역서다. 이 밖에도 김준우 소장이 이끄는 한국기독교연구소는 ‘역사적 예수’관련 서적 50여권을 번역했다.
‘역사적 예수’가 한국교회에 그 무엇보다 절실하다는 데 뜻을 같이한 이들은 예수청년학교와 예수포럼, 예수목회세미나, 예수학당을 열었다.
|
7일 서울 냉천동 감신대 앞 함께나누는세상 사무실에서 열린 예수학당. 조현 기자, 예수학당 제공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