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연 속에서 기도의 삶을 누리는 고진하 목사의 글과 합일된 그의 딸 고은비 화백의 그림이 ‘우리가 잃어버린 것들’을 깨우고 있다.
|
[휴심정] 당신과 나의 관계는
■ <휴심정> 바로가기
최근에 <월드 쇼크 2012>(그렉 브레이든 외 지음)라는 책을 읽었습니다. 우리 시대가 직면한 종말적 증후군을 제시하고 인간의식의 새로운 각성을 촉구하는 내용이 담겨 있는 책입니다.
이 책의 한 저자에 따르면, 지구 인구의 단 2%가 세계 부의 50%를, 그리고 단 1%가 40%를 소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열 명의 가족이 모인 저녁 식탁을 소개합니다. 금 접시에 수북이 담긴 육즙이 흐르는 고기, 신선한 채소, 전세계에서 가져온 진귀한 해산물과 디저트들, 와인과 온갖 음료. 이 모든 것이 한 사람을 위한 메뉴입니다.
그런데 테이블 오른쪽에는 슈퍼마켓에서 파는 냉동식품과 콜라만을 앞에 둔 사람들이 보입니다. 그나마도 그들은 나은 편. 나머지는 딱딱한 빵 조금에 도랑물을 마시고, 저 끝에 앉은 사람들은 아무것도 먹을 거라곤 없습니다. 먹여 살릴 식구는 점점 늘어나고 먹을 것은 점점 없어지는데 한쪽에서는 포식으로, 한쪽에서는 기아로 고통스러워하고 있습니다.
이런 저녁 식탁의 모습은 분명 정신 나간 상황이 아닐까요. 그러나 이것이 지구촌 식탁의 부정할 수 없는 현실입니다. 이런 현실을 타개하려면 ‘문제를 야기시켰던 동일한 의식 상태로는 어떤 문제도 해결할 수 없습니다.’(아인슈타인)
다시 말하면, ‘나와 너’를 따로 떼어 생각하는 분리의식으로는 우리가 당면한 어떤 문제도 해결할 수 없다는 것.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의 의식을 지배하는 건 이런 분리의식입니다. ‘나’라는 주체가 따로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나와 이웃, 나와 자연, 나와 하나님 사이의 분리를 당연시합니다. 그러니까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근원인 신성으로부터 분리된 것처럼 생각하고 행동합니다.”(위의 책)
오늘날 지구촌이 직면한 위기의 뿌리는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사실 내 존재가 타자로부터 ‘분리되어 있다’는 생각은 망상에 불과합니다. 생각해 볼까요. ‘나’라는 존재가 ‘나 아닌 것들’ 없이 존재할 수 있을까요. 어느 수도자의 말처럼 ‘꽃’이 ‘꽃 아닌 것들’ 없이 꽃일 수 있을까요. 꽃 아닌 것들, 즉 햇빛, 흙, 물, 거름, 바람, 공기, 곤충, 새 등이 없으면 꽃은 꽃일 수 없습니다.
인간도 마찬가지입니다. 나라는 존재 역시 나 아닌 것들 때문에 겨우 존재하는 것이 아닌가요. 그러나 우리는 마치 우주 안의 다른 존재들이 없이도 생존할 수 있는 양 분리의 망상 속에 살고 있습니다. 분리의 망상은 인간의 삶을 파괴하고 지구공동체를 파괴하고 있습니다.
|
‘합일’이 아닌 ‘분리’의 관습입니다
‘아버지께서 내 안에 있고
내가 아버지 안에 있다’는
예수의 기도문은 그래서
의식의 혁명을 동반합니다
‘서로 안에 있음’을 깨닫는 일
그것이 복음의 핵심이자
갈등 해소의 시작입니다 “첫사랑 이야기를 듣는 순간,/ 나는 당신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그것이 얼마나 눈먼 짓인지도 모르면서.// 연인들은 끝내 어디에서도 만나지 않습니다./ 그들은 처음부터 서로 안에 있으므로.”(잘랄루딘 루미의 <연인들>에서) 이 시구처럼 진정한 사랑에 눈뜬 연인들은 어디서도 만날 필요가 없습니다. ‘처음부터 서로 안에 있으므로.’ 우리가 만물을 나와 더불어 살아야 할 연인처럼 생각한다면 우리는 ‘서로 안에 있음’을 깨달아야 합니다. 태초에 세상을 여신 분과 ‘서로 안에 있’다는 자각 속에 살았던 예수는 분리의식 속에 사는 사람들을 일깨우기 위해 이 땅에 오신 것이 아닐까요. 예수가 지구별에 머무는 동안 남긴 기도문은 우리에게 그것을 일러줍니다. 이 기도문은 세상 떠날 때가 가까워 옴을 예감하고 남긴, 어쩌면 유언과도 같은 기도문입니다. “아버지, 아버지께서 내 안에 계시고, 내가 아버지 안에 있는 것과 같이, 그들도 하나가 되어서 우리 안에 있게 하여 주십시오.”(요한 17: 21~23) 이 기도문에서 예수가 하나님을 ‘아버지’라고 부른 것은 친근함의 표현입니다. 예수 이전에는 아무도 하나님을 아버지로 호칭하지 않았습니다. ‘아버지’라는 호칭은 예수와 하나님이 ‘사이 없는 사이’임을 적극적으로 드러낸 표현에 다름 아닙니다. 진정한 사랑의 관계는 합일, 곧 ‘사이 없는 사이’라는 말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수의 삶을 돌아보면, 이것은 단지 듣기 좋은 수사가 아니라 예수의 삶 그 자체입니다. 예수는 모든 존재의 원천이신 하나님과 자기 자신을 떼어서 생각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니까 예수는 자신이 하나님과 둘로 나뉘어져 있지 않다는 자각 속에 살았기에 굳이 하나님과의 합일을 추구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아버지께서 내 안에, 내가 아버지 안에’ 있다는 말씀은, 분리의식 속에 살아가는 인간들로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말씀이었을 것입니다. 그 말씀을 우리는 짧은 문장으로 이렇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서로 안에 있음!’ 예수는 ‘서로 안에 있음’, 즉 합일의 희열과 황홀을 당신을 따르는 이들과 함께 나누길 원했던 것입니다. 신성한 원본(原本)이신 하나님을 모르는 이들에게, 본래 모든 존재가 하나님과 하나라는 것을 알려주고 싶어 했습니다. 그것은 곧 모든 존재가 하나님의 사랑 안에 있음을 알게 하려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은 분리의 망상 속에 살아가는 이들의 고정관념을 깨뜨리는 일입니다. 우리는 그것을 의식의 혁명이라 부를 수 있을 것입니다. 기도를 통해 보여주는 예수의 염원은 이처럼 의식의 혁명을 동반합니다. 이때 낡은 삶의 방식이 깨어지고 새로운 삶의 방식을 지닌 존재가 탄생할 수 있습니다.
|
치악산 아래에서 살아가는 고 목사 시인과 부인 권기화씨. 조현 기자
|
|
고진하 목사·시인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