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히말라야 다람살라에서 26년째 수행하며 오지인들을 돕고 있는 청전 스님. 사진 전제우 작가
|
[휴심정] 신부와 승려 히말라야 동행
매년 여름 20여년째 히말라야 인도 북부 라다크로 향한다. 문명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오지의 곰파(절)와 마을에 사는 사람들에게 온갖 의약품부터 돋보기, 보청기, 학용품이나 옷가지까지 문명의 이기물인 생필품을 전해주기 위한 길이다. 이 세세한 물품은 거의 일 년 동안 준비하는 소중한 것들이기도 하다. 라다크 지방은 고지대라서 여름이 다 되어서야 긴긴 겨울잠에서 깨어난 높은 고개들이 하나씩 하나씩 열린다. 함께 길을 갈 대원은 이미 한 해 전에 결정이 난다. 올해는 세 분이 지원해 각자 개인적으로 출발해 며칠 전에 들어왔다. 한국에서 교수 한 명과 재가불자 한 명, 그리고 멀리 파리에서 유학중인 스님이다. 항상 인원 제한을 하는데 인도산 지프차에 탈 수 있는 정원이 정해져 있는데다 무엇보다도 그 많은 짐 때문이다. 며칠간 심사숙고 끝에 지역별로 나눈 짐이 대형 가방으로 일곱 개나 된다. 운전수를 포함해 다섯이 탑승해야 하니 늘 비좁기만 하다. 만반의 준비가 끝났다. 한 달이 넘는, 고난도 봉사활동이라서 집 떠날 때 마음가짐도 예사로운 게 아니다. 그런데 출발 전전날 이른 아침에 뜬금없는 전화벨 소리가 울린다. 뜻밖의 방문객이 지금 막 델리에서 밤 버스로 올라와 다람살라에 도착했단다. 꾀죄죄한 모습으로 도착한 두 분은 가톨릭 신부님이다. 네팔에서 에베레스트며 마나슬루까지 트레킹을 마치고 올라오셨다는 두 신부님, 안식년을 맞아 여기에 오게 되었단다. 좀 나이 들어 보이는 레오 신부님의 첫 말씀이 이색적이다. “저는 밥돌이 신부예요.” 알고 보니 프란치스코 수도회에서 매일 노숙자들에게 식사를 제공하는 일을 한단다. 일이 바빠 30년 만에 처음 얻은 안식년이란다. 레오 신부님은 오래전부터 알고 지내는 분이다. 두 분 다 수도원장을 지냈다. 두 신부님도 가고 싶어 하는데 그 좁은 지프차에 어떻게 탈 것인가. 궁여지책으로 차량 위에 철제 구조물을 올리기로 했다. 출발. 첫 관문이라 할 조지라(3650m)를 무사히 넘긴 했지만 파리 유학승은 사색이다. 하긴 포장이 되어 있나, 난간이 있나, 천 길 낭떠러지 고갯길에서 아찔해진 것이다. 앞으로도 이런 길을 수없이 넘어야 한다는 걸 모르는 스님으로선 소름 끼치는 길이기도 하겠지.
|
지난 8월 인도와 티베트의 경계인 라다크의 험난한 산길을 넘고 있는 순례단들. 사진 지승도 항공대 교수
|
생필품 전하러 가는 한달 여정
냉기 가득한 동굴 사원에서
어떻게 수행만으로 견뎌냈을까
서로의 빛으로 반짝이는
밤하늘 별무리에 평화 깃들어 고승의 수도 동굴에 든 가톨릭 수도원장 인솔 총책임자로서 내심 일행 중에 고산증세가 나타나면 어쩔까 하는 걱정이 따랐다. 첫날은 일부러 고소를 익힐 겸 제법 낮은 3300m 정도의 카르길 지역 마지막 회교도 마을인 파르카치크에서 묵기로 했다. 파르카치크는 해발 7135m 눈(Nun) 산과 7087m의 쿤(Kun) 산 두 개가 피라미드 형제처럼 멋진 만년설의 위용을 자랑하며 자리잡고 있어 더러 유명 산악인들이 군침을 삼키는 곳이기도 하다. 예상대로 대원 중의 한 사람인 교수님이 두통을 하소연하며 드러눕는다. 이튿날 아침에 겨우 일어나기는 했지만 어떤 먹거리도 거부한다. 그러나 우리의 발길은 하루도 늦출 수 없다. 어느 날이건 간에 아침은 서둘러야 한다. 머리가 아파 빠개질 듯하다는 환자에게 가면 서서히 적응할 거라는 위로의 말 외엔 방법이 없다. 다행히 그날 하루 힘들어하더니 고소 적응이 쉽게 이루어졌다. 드디어 잔스카르 계곡의 초입, 하얀 불탑과 함께 오색의 타르촉 깃발이 나부낀다. 두어 시간을 달리니 황량한 붉은 뒷산을 배경으로 4100m나 높게 자리한 첫번째 곰파 랑둠 사원이 아스라이 다가온다. 14년 전 슬픈 사건이 벌어졌는데, 이 절의 세 스님이 회교도들이 쏜 총에 살해되었다. 범인은 미궁이다. 이 열린 시대에도 공존할 수 없다니. 특히 사랑과 자비를 말하는 종교가 더하니 아이러니한 일이다. 절 초입에 세 스님의 위령탑이 세워져 있다. 늘 절에 들어가면 출석을 부르듯 한 스님, 한 스님 명단을 부른다. 다행히도 한 해 동안 돌아가신 노스님이 없다. 곰파에 가면 항상 티베트식 버터차를 대접받는데 이 절은 마른 야크 고기가 안주처럼 나온다. 이 지역의 식사 대용품이다. 처음으로 야크 고기 맛을 본다는 일행들이 마른 명태 맛이라며 씹어 먹는다. 먹다 남은 고기를 가져가겠다고 하니, 소임 보는 라마승이 따로 하얀 천에 듬뿍 고기를 싸준다. 절 규모가 작아 영양제와 몇 가지 일용품을 챙겨드리고는 바로 다음 절로 가기로 했다. 바삐 서둘러도 굽이굽이 비포장 길을 가는 건 더디기만 하다. 가끔 휘몰아치는 까탈스런 바람에 먼지를 뒤집어쓰기 예사다. 펜지라(4550m)를 넘으면서, 아래쪽에 그대로 처박힌 채 찌그러져 있는 버스 잔해가 눈에 밟혀 마음이 저민다. 여름에만 운행되는 레에서 파둠까지의 노선버스, 매일 있는 정기 버스가 아니라, 승객이 차야 움직이는 이 버스가 4년 전에 저 아래로 굴러떨어진 것이다. 11명이 죽고 50여명이 부상을 입었다. 저녁 무렵에 파둠 못미처 있는 샤니 곰파에서 하룻밤을 묵기로 했다. 원래는 종쿨 곰파에서 묵을 예정이었지만 그곳까지 도착하기 어려워서다. 샤니 곰파는 인도 후기불교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성자 나로파(1016~1100)의 사리탑이 있는 성지다. 이분의 인생 역정이 가관인 것이, 한때 그 유명한 날란다(현 인도 비하르주에 있었던 불교 최대의 승가대학)의 학장으로 있다가 모든 지위와 명예를 버리고 틸로파(988~1069)를 스승으로 12년간 난행고행을 자처했다. 나로파의 법제자가 티베트인인 마르파이며 이분의 수제자가 바로 세상에 잘 알려진 고행 성자 밀라레파(1052~1135)다.
|
지난여름 라다크 순례를 함께 떠난 레오(왼쪽)·실베스델 두 신부와 함께한 청전 스님. 사진 지승도 항공대 교수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