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깔 있는 이야기
어느 시골에 오일장이 열렸다. 시골장터의 그늘진 한구석에는 한 할아버지가 옥수수를 팔고 있었다. 아직 삶지 않은 찰옥수수였다. “할아버지! 이 찰옥수수 얼마예요?” 한 아주머니가 네 개씩 나누어 놓은 옥수수 한 무더기를 가리키며 물었다. “예, 한 무더기에 3천원입니다.” “세 무더기는 얼마예요?” “9천원입니다.” 그러자 아주머니가 말했다. “세 무더기를 사도 깎아 주는 게 없으시네요.” 아주머니는 할아버지가 가지고 나온 부대를 가리키며 물었다. “그렇다면 가지고 나온 옥수수 전체를 사면 얼마지요?” 그 말을 들은 할아버지는 웃으며 말했다. “전부는 안 팝니다.” 아주머니는 이상하다고 생각하며 물었다. “아니, 왜 다는 안 팔아요?” 할아버지가 빙그레 웃으며 대답했다. “난 지금 내 삶을 살기 위해 이 장터에 나왔지 장사하러 나온 것이 아닙니다. 난 이 장터를 사랑합니다. 물건을 팔고 사기 위해 흥정을 하며 북적대는 사람들, 오랜만에 만났다고 서로 손을 잡고 반가워하며 떠드는 모습들, 팔려 나온 짐승들의 울음소리, 장터 사람들을 유혹하는 국밥 끓는 소리, 뻥 하고 튀밥 튀는 소리, 시원한 냉차를 사 먹으라는 소리, 복잡한 장터 골목을 헤쳐 나가는 지게꾼 소리, 엿을 팔기 위해 가위로 흥겹게 장단을 맞추며 춤을 추는 엿장수, 난 이 활기 넘치는 장터 풍경을 사랑합니다. 이 살아있는 장터를 사랑합니다. 그리고 이곳에서 하루를 보내는 것이 내 삶입니다. 그런데 한 사람에게 이 옥수수를 몽땅 팔고 나면 난 여기에 있을 필요가 없지 않아요? 다 팔면 내 하루는 그것으로 끝나고 마는 것입니다. 그러면 사랑하는 내 삶을 잃어버리는 것입니다. 그래서 다는 안 팝니다.” 우리의 인생도 장터에 나온 촌부와 같습니다. 파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면 즐길 수 있습니다. 우리는 가지고 나온 것을 다 팔면 돌아가야 합니다. 현재를 즐길 수 없다면 내일도 즐길 수 없습니다. 지금을 즐길 수만 있다면 행복은 그림자처럼 삶을 따라다닐 것입니다. 희망은 내일 찾아오는 것이 아니라 오늘 내 가슴속에 있는 것입니다. 오늘 가슴속에 희망의 보따리를 품지 못한 사람은 내일도 희망을 찾을 수 없습니다. 그런데 우리 주변에 가슴속에 희망의 보따리를 품었다고 말하면서도 희망을 살지 못하는 사람이 많은 이유는 무엇입니까? 품고 있는 희망의 보따리가 묶여 있기 때문입니다. 그 묶인 희망의 보따리는 오늘을 즐길 때 풀어집니다. 즐기기 위해 나왔다가 파는 사람이 되어버린 사람들이 가득한 장터에서 희망의 보따리를 풀어놓읍시다. 지금의 삶을 즐기는 사람의 희망은 혼자 가는 길이 아닙니다. 중국의 작가였던 루쉰은 “희망은
|
문병하 목사(양주 덕정감리교회)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