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깔 있는 이야기
미국이 서부를 개척하던 시대에 마차는 중요한 교통수단이었습니다. 그런데 그 마차에도 지금 비행기처럼 1등석, 2등석, 3등석으로 구별되어 있었습니다. 그 구별은 평지를 갈 때에는 함께 타고 가지만 언덕을 올라가거나 진흙탕처럼 어려운 길을 만났을 때 나타납니다. 언덕이나 진흙탕을 만나면 3등석 승객은 무조건 내려서 밀어야 하고, 2등석은 내리지만 따라만 가면 됩니다. 그런데 1등석은 내리지 않고 마차 안에 앉아 있을 수 있었습니다. 이 세 등급의 구분은 평소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지만, 머나먼 서부로 갈 때 수없이 만나게 되는 험로에서는 1등석은 비싼 값을 충분히 하고도 남았습니다. 우리 인생도 서부개척시대 마차와 같이 세 부류의 자리가 있는 것 같습니다. 먼저 1등석 인생은 스스로 특권층이라 생각하는 사람들로, 공동체에 어려운 일이 있어도 내려오지 않고 앉은 채로 명령만 하려고 듭니다. 또한 2등석 인생도 있습니다. 어려울 땐 내려서 따라는 가지만, 결코 밀어주지 않는 기회주의자입니다. 그러면서 돈이 더 있으면 1등석을 타리라는 아쉬움과 원망 속에서 살아갑니다. 끝으로 3등석은 처음부터 앉을 생각도 않고 험한 일을 만났을 때 일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 세 부류의 자리와 상관없이 또 한 부류의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앉은 자리의 문제가 아닙니다. 어쩔 수 없이 3등석에 탄 사람도 있지만, 1등석 표를 가졌음에도 험로에서는 함께 밀어주는 사람도 있는 것입니다.
|
문병하 목사(양주 덕정감리교회)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