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27일 서울 성북구 길음뉴타운 8단지 제2경로당 공동작업장에서 할머니들이 두루마리 위생봉투를 포장하고 있다. 성북구 제공
|
서울 성북구의 경로당 공동작업장
길음뉴타운 임대아파트 할머니들
하루 2시간씩 위생장갑·봉투 포장
월급 20만원에 병원 가고 용돈까지
“출퇴근 쉽고 따뜻한 방이라 좋아”
성북구·복지관·마을기업 협업
주민센터에 무인발송택배함 설치
택배 포장으로 새 일자리 창출
지난달 27일 서울시 성북구 길음동 길음뉴타운 8단지 825동 바로 앞에 있는 제2경로당에 들어섰다. 벽면에 위생장갑으로 가득 찬 종이상자들이 층층이 쌓여 있었다. 이무자(69) 경로당 회장은 “우리 할머니들이 하나하나 포장한 것”이라고 뿌듯해했다.
오후 1시가 되자 앉은뱅이밥상 앞으로 할머니 6명이 모여들었다. 두 명이 한 조가 되어 두루마리 위생봉투를 포장하기 시작했다. 둘둘 말린 위생봉투에 상표 등이 인쇄된 종이와 포장지를 감싼 뒤 양옆에 스티커를 붙이는 작업이었다. 잽싸지는 않지만 꼼꼼한 손길로 하나씩 완성해갔다. 이렇게 오후 3시까지 두 시간씩 한 주에 3~4번 일하고 있다. 한 달에 32시간을 일하고 받는 기본급이 20만원이다. “월급이 너무 적다고 생각하지 않느냐”고 묻자 이 회장은 “집 바로 앞이라 출퇴근에 돈도 안 들고, 추운 날씨에 길에서 폐지 줍는 것보다 따뜻한 방에 앉아 여럿이 이야기 나누며 일하는 게 훨씬 낫지 않으냐”고 반문했다.
길음뉴타운 8단지 제2경로당에 공동작업장이 들어선 건 지난해 11월. 성북구가 2013년 7월 석관동 경로당에 이어 두 번째로 지정한 경로당 공동작업장이다. 윤희숙 성북구청 어르신정책팀장은 “경로당 안에 공동작업장을 만든 건 서울에서는 성북구가 처음”이라고 말했다.
“우리 경로당이 공동작업장이 된 건 참 운이 좋았어요. 원래 8단지에는 제1경로당밖에 없었어요. 그런데 제1경로당 회원들이 임대아파트인 825동 주민은 비회원이라고 우리한테 회장 투표권도 안 주는 거예요. 관리소장한테 하소연했더니 825동 바로 앞에 공간이 있다고 따로 경로당을 열어주셨어요. 그런데 경로당 지원프로그램을 신청하려면 매일 나오는 회원이 15명은 넘어야 하는데, 우리는 규모가 작아서 신청 자격이 안 된대요. 마침 공동작업장은 상관이 없다 해서 신청했는데 딱 된 거 있죠.”(이무자 회장)
경로당 회원 중에서 참여자를 모집해 6명을 뽑았다. 60대부터 80대까지 다양하다. 최고령자인 차부운(82) 할머니는 월급을 받고 가장 먼저 한 일이 병원에 가는 것이었다. 혈압이 높아서 상계동에 있는 종합병원에 정기적으로 다니고, 무릎이 아플 때마다 정형외과도 방문한다. 병원비도 문제지만 성치 않은 다리로 오가는 게 늘 힘겨웠다. 첫 월급을 받고 마음 편히 택시를 타고 병원에 다녀왔다.
“첫 월급을 받고 며칠 뒤에 대학 졸업반인 손자가 마침 집에 왔어요. 큰마음 먹고 용돈으로 2만원을 줬어요. 손자가 한사코 안 받겠다고 사양을 하기에 ‘너도 아르바이트하고 첫 월급 받았을 때 할머니한테 용돈을 주지 않았느냐. 할머니가 받은 첫 월급이니 그냥 받으라’고 그랬죠. 그런데 2만원을 든 내 손이 떨리긴 하더라고.”(차부운 할머니)
|
같은 날 할머니들과 길음실버메신저 할아버지들이 길음1동 주민센터 별관에 설치된 무인발송택배함 앞에 모였다. 할머니들은 보물 1호인 월급통장을 두 손에 꼭 쥐고 있다. 성북구 제공
|
|
올해부터 확대된 어르신 사회활동 지원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