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6.05.24 19:35
수정 : 2006.05.24 19:35
교수들 전문대 육성 촉구
“제 제자들(전문대 학생들)이 밥먹으러 가다가도 ‘전문’식당가는 안 간답니다. 정부의 전문대 홀대정책이 마치 신분제 딱지마냥, 전문대를 졸업해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의 어깨를 짓누르고 있습니다.”
24일 전국에서 모인 500여명의 전문대 보직 교수들이 서울 프레스센터 강당을 빼곡히 메웠다. 이날 ‘전문대 교육혁신 결의대회’에 대해 윤여송 전문대교육혁신운동본부장(인덕대 토목공학과)는 ‘거리에 나서서라도 호소하고 싶은 절박한 심정으로 모였다”고 했다.
전국 전문대 교수들은 이날 △전문대 수업 연한 자율화 △재정지원 확대 등 전문대 육성 정책 마련을 정부에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의 요구는 요컨대, 현재 4년제 일반대학과 전문대로 나뉘어 있는 고등교육체제를 ‘연구 중심대학’과 ‘직업교육 중심대학’으로 개편하자는 것이다. 연구중심대학의 길을 가는 일부 대학을 빼고 나머지 모든 대학(일반대, 전문대, 기술대)들이 똑같은 조건에 경쟁하도록 하자는 것이다. 이 경우 현행 4년제 대학도 2년, 3년 과정을 개설할 수 있으며, 현행 전문대-일반대 구분은 없어지게 된다.
이들은 당장 이런 고등교육 체제 대개편이 어렵다면 우선 전문대 수업연한을 학과에 따라 1~4년 범위 내에서 학교의 장이 자율 결정하도록 허용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를 위한 조건은 이미 무르익었다고 이들은 말한다. 현재 4년제 일반대학들이 전문대학들의 ‘잘나가는 학과’의 교육과정을 베낀 ‘모방 학과’를 잇따라 개설했거나 개설하고 있기 때문이다. 몇년새 4년제 대학에서 애견학과, 치기공, 치위생, 방사선, 안경학과 같은 학과 개설이 급증했다. 전통적으로 전문대의 핵심 분야였던 간호·보건계열 정원에서 전문대가 차지하는 비중이 2003년엔 85% 가까웠으나 올해에는 28%로 줄었다. 대신 4년제 대학들이 72%를 메웠다.
정부의 재정 지원이 4년제 대학에 집중돼 있는 것도 전문대의 ‘한숨’을 깊게 한다. 전문대가 전체 대학생의 40%에 이르는 교육을 담당하지만 정부 부처들의 예산지원은 4년제 대학의 2%에 불과하다.
이날 ‘결의대회’에 참석한 김진표 교육부총리는 수업연한 자율화 등 요구에 대해 이미 전공심화과정(3년)을 이수할 경우 학사학위를 주기로 한 만큼, 장기적으로 현재 교육부에서 추진중인 ‘학제 개편’ 틀 속에 포함해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허미경 기자
광고
기사공유하기